정보공유2017. 3. 30. 23:43
귀농귀촌 정보를 검색해보세요!
반응형

2017년도 무상환 정부지원금 조달을 위한 기업 R&D역량 무상진단 코칭지원사업 계획 공고


()한국기술개발협회는 2017년도 무상환 정부지원금 조달을 위한 기업 R&D역량 무상진단 코칭지원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의 각종 정부지원사업 활용 역량 강화 및 기업의 성장단계에 최적화된 R&D 관련 공적 자금조달 맞춤코칭을 제공하여 기업의 무상환 정부지원금 조달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동 지원사업 계획을 아래와 같이 공고하오니 중소기업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한국기술개발협회장

1. 사업목적

기업의 R&D역량을 진단하여 기업으로 하여금 효과적인 정부 R&D

지원금 조달이 가능하도록 무상환 정부지원금 조달에 필요한 맞춤

코칭을 지원

 

2. 사업 내용

추진내용 : 무상환 R&D 정부지원금 조달에 필요한 진단 및 맞춤형

코칭 프로그램 지원

- 협회의 심사위원이 기업체를 방문하여 R&D 역량을 진단 - 맞춤형 진단결과보고서 무상 지원

 

3. 지원 내용

지원분야 : 진단결과에 따라 무상환 R&D 정부지원 조달에 필요한 기본

역량 및 맞춤형 코칭 프로그램 지원

지원규모 : 지역 및 업종 구분 없이 80개사 내외 선정 지원

지원기간 : 선정 후, 최대 2개월간


2017年度無償還政府支援金調達のための企業のR&D能力無償診断コーチング支援事業計画発表


(社)韓国技術開発協会は、2017年度無償還政府支援金調達のための企業のR&D能力無償診断コーチング支援事業を通じて、中小企業の様々な政府支援事業を活用能力の強化と企業の成長段階に最適化され、R&D関連の公的資金調達カスタムコーチングを提供し、企業の無償還政府支援金調達能力を最大化することができるよう、同支援事業計画を以下のように発表しますので、中小企業の多くの参加ください。

(社)韓国技術開発協会長

1.事業目的

当企業のR&D能力を診断し、企業にとって効果的な政府のR&D

支援金調達が可能なように無償還政府支援金調達に必要なカスタマイズ

コーチングをサポート

 

2.事業内容

ㅇ推進内容:無償還のR&D、政府支援金調達に必要な診断とカスタマイズ

コーチングプログラムサポート

- 協会の審査員が企業を訪問し、R&D能力を診断 - カスタマイズ診断結果報告書無償サポート

 

3.サポート内容

ㅇ支援分野:診断結果に基づいて無返済のR&D、政府支援の調達に必要な基本的な

能力およびカスタムコーチングプログラムサポート

当支援規模:地域と業種を問わず、80社前後選定サポート

当サポート期間:選定した後、最大2ヶ月間



무상환 정부 R&D 지원금 역량 진단 분야

정부출연금(R&D)

지원 사업

- 무담보/무이자/무상환 조건의 정부출연금

(기술개발자금, 창업기술개발자금, 투자연계

지원 자금 등)

지식/산업 재산권

지원 사업

- 특허 (발명, 실용신안, 디자인, 상표 등)

- 기술 및 신제품 개발 자금

(예비)창업지원사업

- (예비)창업기업지원자금

각종 인증지원사업

- 기업부설연구소, 벤처기업, 이노비즈, 메인비즈

등 기업관련 인증

- 녹색인증, NEP, 조달우수제품 등록 등 제품

(기술)관련 인증

정부포상 사업

- 대통령, 국무총리, 장관, 기관장 등

융자지원금 지원

사업

- 특별금리 융자지원금

(중앙기관 지원자금, 지자체 지원자금 등)

판로/수출 지원사업

- 판로 및 수출 지원 자금 등

각종 인력지원사업

- 고용노동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등

기술거래 지원사업

- 한국발명진흥회, 지역지식재산센터 등

투자연계 지원사업

- 투자연계 R&D 및 투자유치 컨설팅 등

역량진단 범위

4. 신청자격

신청자격

무상환 R&D 정부지원금 조달이 필요한 모든 중소기업(예비창업자 포함)

우선지원 대상

- 기업부설연구소 보유기업 (가점 10), 여성인 대표기업 (가점 10)

- 3년 이내 등록특허 보유기업(가점 10), 전년도 수출실적 기업(가점 10)

- 혁신형(벤처/기술/경영) 중소기업(가점 10), 비수도권 소재기업(가점 10)

- 불법 정책자금 브로커 피해 중소기업 (가점 20, 피해사례 제출 필)

- ()한국기술개발협회 정회원 (가점 20)

- 공식후원 커뮤니티(http://cafe.daum.net/policyfund)회원 (가점 20)

* 가점 한도 기준 : 최대 50점까지

신청제외대상

- 국세, 지방세 체납 기업

- 전년도 기준, 부채비율이 500%이상이고 유동비율이 50%이하인 기업

(, 창업 후 3년 이내 기업은 재무비율 제외 적용 예외)

- 의무사항 불이행 기업(접수 마감일 현재 정부과제사업의 정산금 및

환수금 납부 등의 의무사항을 불이행하고 있는 기업)

 

4.申請資格

当申請資格

無償還のR&D、政府支援金の調達が必要なすべての中小企業(予備創業者を含む)

当優先支援対象

- 企業付設研究所保有企業(加点10点)、女性である代表企業(加点10点)

- 3年以内に特許保有企業(加点10点)、前年度の輸出実績企業(加点10点)

- 革新型(ベンチャー/技術/経営)中小企業(加点10点)、非首都圏素材企業(加点10点)

- 違法ポリシー資金ブローカー被害中小企業(加点20点、被害事例の提出フィル)

- (社)韓国技術開発協会正会員(加点20点)

- 公式スポンサーコミュニティ(http://cafe.daum.net/policyfund)会員(加点20点)

*加点制限基準:最大50点まで

当アプリケーション除外

- 国税、地方税滞納企業

- 前年度の基準、負債比率が500%以上であり、流動比率が50%以下である企業

(ただし、創業後3年以内に企業は財務比率を除く適用例外)

- 義務不履行企業(締め切り現在、政府の課題事業の精算金と

関連費用納付などの義務を不履行している企業)


5. 선정방법 (평가기준)

지원절차 및 평가방법

신청서 접수

금일~ 선착순

수시접수

방문진단평가

(접수후 3일이내)

선정통보

(평가후 3일이내)

프로그램

맞춤지원

(최대 2개월)

 

- 모든 진단평가는 협회 심사위원이 신청기업을 방문하여 진행

- 일괄 평가방식이 아닌, 선착순 개별 방문평가 방식으로 진행

평가 기준

구 분

평가항목

세부내용

배 점

기술역량

(30)

R&D 역량

- 기술 및 제품 지재권 및 인증 실적

- 연구조직 및 협력네트워크

15

독창성 및

차별성

- 기술(제품)의 혁신 및 우수성

- 기존 제품과의 차별성 및 경쟁력

15

사업화 역량

(30)

판로계획 및 수요처

- 시장규모 및 시장진입 가능성

- 수요처 확보 및 마케팅 능력

30

기업 및

대표자 역량

(40)

기업역량

- 재무비율 (부채비율, 유동비율 등)

- 업력 및 인허가 사항

20

대표자

역량

- 대표자의 R&D 의지

- 전문성 및 R&D 수행 실적

20

가점항목

가점서류

- 우선지원대상 기업 증빙 여부

10%

 

6. 신청방법

신청기간 : 금일 ~ 선착순 수시접수

제출서류

지원신청서

- 파일명은 무상진단지원신청서_신청기업명으로 작성하여 제출

가점사항 증명서류

- 본 공고 우선지원 대상 기준

신청방법 : 온라인 신청 (이메일 제출)

http://www.kotera.or.kr 알림마당공지사항

‘2017년도 무상환 정부지원금 조달을 위한 기업 R&D역량 무상진단

코칭지원사업 계획 공고지원양식(HWP파일)다운로드 후 작성

이메일(info@kotera.or.kr)로 지원 신청서 송부

신청접수 후, 24시간 이내 접수 확인 메일이 전송되니, 신청 후 접수

확인 메일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유선을 통한 접수 여부 확인 요망

자세한 문의는, 문의처(02-572-8520)를 통한 전화 상담 가능

 

7. 유의사항

본 사업은 무상환 R&D 정부지원금을 조달받을 수 있는 코칭 프로그램

을 지원하는 것일 뿐, 협회에서 직접 정부지원을 지급하지 않음

진단결과보고서에 추천된 프로그램에 신청할 수 있는 유효기간은 최대

2개월 이내로 제한됨(추천 프로그램은 별도 신청하여야 지원 가능)

8. 문의처


6.申し込み方法

ㅇ申し込み期間:「本日〜先着順随時受付」

当提出書類

①サポート申請書

- ファイル名は、「無償の診断支援申請書_申し込み企業名」で作成して提出

②加点事項証明書類

- 本公告優先支援対象基準

ㅇ申し込み方法:オンライン申請(電子メール送信)

http://www.kotera.or.kr→「お知らせ広場」→「お知らせ」→

「2017年度無償還政府支援金調達のための企業のR&D能力無償診断

コーチング支援事業計画発表」→サポートフォーム(HWPファイル)をダウンロードした後作成→

メール(info@kotera.or.kr)でサポート申込書送付

当申請受付後、24時間以内に受付確認メールが送信されるので、お申し込み後に受信

確認メールを受信して​​いない場合には、有線を介して受信し状況をチェック要望

当詳しいお問い合わせは、お問い合わせ先(02-572-8520)を通じた電話相談可能

 

7.注意事項

当本事業は、無償還のR&D、政府支援金を調達することができますコーチングプログラム

をサポートしていることであるだけ、協会から直接、政府支援を支給していない

当診断結果報告書に推薦されたプログラムに申し込むことができる有効期間は最大

2ヶ月以内制限(推奨プログラムは、別途申請しなければ対応可能)

8.お問い合わせ先



지 원 기 관

연 락 처

()한국기술개발협회

경영지원본부 / 02-572-8520

info@kotera.or.kr 문동주 선임연구원

수 행 기 관

연 락 처

()한국기술개발협회

정책자금 전문위원단

경영지원팀 / 02-572-8520

edu@kotera.or.kr 전담부서/연구원


반응형


Posted by 교육자의 길
정보공유2017. 3. 30. 23:38
귀농귀촌 정보를 검색해보세요!
반응형

창업성공의 첫 걸음, 창업지원금 받기! 

 

창업 성공은 쉽지 않은 일이지만, 기업가정신을 가지고, 아이디어가 있는 청년은 도전해 볼 만한 일이라고 할 수 있죠?

정부에서는 기술이나 아이디어에 기반한 창업을 쉽게 접근하고 좀 더 용이하게 성공할 수 있도록 지원제도를 갖추고 있는데요. 

청년창업에 대한 지원은 교육, 사업화, 자금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주로 사업을 수행하는 주체도 정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으로 다양하게 나누어 질 수 있답니다. 

 

창업지원을 제대로 받기 위해서는 지원방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데요. 

그 몇 가지 상세사항들을 한번 알아볼까요? 

 

1. 지원방식에 따라서 

1) 직접 지원: 창업자에게 직접 자금을 주는 방식

(예: 중기청의 창업맞춤형사업, 청년창업사관학교, 지자체 청년창업지원사업 등)

이들 사업은 지원대상으로 선정된 창업자들에게 사업화자금을 주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2) 간접 지원: 창업자에게 인프라를 이용하게 하는 방식

대학 및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창업보육센터나 중기청의 시제품 제작터와 같이

창업공간, 설비 등을 만들고 창업자가 시중보다 적은 비용을 지불하고 이용할 수 있게 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2. 자금의 성격에 따라서

1) 보조금: 지원하고 나서 회수하지 않는 돈이다. 갚을 필요가 없으므로 창업자 입장에서는 가장 유리.

2) 융자금: 대출기간 동안 이자와 원금을 갚는 도록 하는 방식.

3) 보증금: 담보가 부족한 창업자에게 신용보증기관이 보증함으로써 대출이 가능하도록 보완한다.

 

3. 지원대상에 따라서 

1) 청년전용사업: 39세 이하 청년만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

2) 일반창업사업: 창업자의 나이에 관계없이 전체 창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사업

 

창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이라면, 위의 내용을 토대로 중소기업청에서 운영하는 기업마당 (http://www.bizinfo.go.kr) 에서

다양한 정보들을 확인해보세요.

 

또한, 나의 아이디어를 지키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둘 것들이 필요한데요 ~.

아이디어가 노출될 우려가 있다면 지식재산권으로 등록해서 소유권을 보호받는 방법을 검토해볼 수도 있겠습니다 :)

 

 

자, 이제 청년창업지원 대표사업들을 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

 

□ 중기청 창업맞춤형 사업

창업맞춤형 사업은 예비창업자와 창업초기기업을 대상으로 창업선도대학, 청년창업사관학교 등 수요자가 원하는 창업지원기관을 통해 창업교육부터 사업화까지 일괄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지원대상으로 선정되면, 최대 5천만원(지식서비스업은 3.5천만원)까지 사업화 보조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사업공고는 3월 4째주 예정이며 창업넷(www.changupne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스마트벤처창업학교

스마트벤처 창업학교는 SW, 앱, 콘텐츠 분야 창업자의 교육, 창업공간, 사업화를 지원한다. 수도권은 옴니텔(http://omnisvi.org), 비수도권은 경북대학교(http://svil.or.kr)로 지정되어 있다. 지원금액은 총사업비의 70%이내에서 최대 1억원까지인데, 금년 사업은 창업넷을 통해 신청받았으며, 3.10(화)로 마감되었으나, SW창업을 계획하는 경우 내년도 사업 참여를 검토해 볼 수 있다.

 

□ 창업선도대학

전국 21개 창업선도대학을 지정하여 청년창업자의 교육부터 사업화까지 일괄 지원한다. 창업선도대학 사업에 선정되면 최대 5천만원까지 창업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창업선도대학 지정현황과 금년도 사업공고는 3월중에 창업넷(www.changupnet.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청년전용창업자금

청년전용창업자금은 39세 미만의 예비창업자 또는 창업 1년미만 기업을 대상으로 창업에 필요한 자금을 컨설팅과 연계하여 대출한다. 대출한도는 1억원까지이고 대출기간은 5년(거치기간 2년이내 포함)이다. 신청은 매월 1일부터 중진공 지역본부(융자상환금조정형) 또는 수시로 기업은행․우리은행(민간금융매칭형)을 통해 하면 된다.

 

□ 청년창업특례보증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에는 39세이하 청년창업자에 대해 95%까지 보증하는 청년창업특례보증이 있다. 1억원 이하에 대해서는 전액 보증을 받을 수 있고 보증요율도 0.3%로 일반보증(1.2% 내외)대비 매우 낮은 수준이다.

 

□ 창조경제타운, 무한상상국민창업프로젝트

미래창조과학부의 창조경제타운과 중기청의 무한상상국민창업프로젝트는 일반 국민 아이디어의 사업화를 지원한다. 창조경제타운(www.creativekorea.or.kr), 아이디어오디션(www.ideaaudition.com) 에 자신의 아이디어를 등록하면 사업화가능성에 대한 평가를 거쳐, 실제 사업화 될 수 있도록 연계지원을 통해 도와준다. 수시로 신청가능.

 

□ 지자체 청년창업프로젝트

서울, 경기, 부산, 대구 등 지방자치단체별로 청년창업자에게 창업활동비와 사업화자금, 교육, 컨설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지자체 청년창업프로젝트는 지원금 규모는 중기청 등 정부보다 적지만, 인허가, 창업이후 입지 등 장기적인 측면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신청 및 선정은 지자체별로 다르니 각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창업지원에 대한 다양한 사업이 있다는 사실!

아래 표를 보시면 더욱 더 다양한 정보들을 살펴볼 수 있답니다~ 

청년 여러분, 든든한 정부 창업지원 프로그램과 함께 나의 꿈을 설계해보세요! 




The first step to success, entrepreneurial support!

 

It is not easy to start a business, but is it entrepreneurial, and a young man with an idea is a challenge?

The government has a system that allows easy access to entrepreneurship based on technology and ideas and to make it easier to succeed.

Support for young entrepreneurship is provided in a variety of ways, including education, commercialization, and funding.

Mainly those who are doing business can be divided into government, local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I need to understand how to get support to get started.

Let me find out some of the details.

 

1. Depending on the support method

1) Direct support: Direct funding to founders

(For example, custom-tailored business of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youth entrepreneurship school, local government youth entrepreneurship support project, etc.)

These businesses are operated in such a way as to give commercial fund to the entrepreneurs selected for the support.

2) Indirect support: How to use infrastructure for founders

Like a business incubator center operated by universities and public institutions,

We create entrepreneurial space, equipment, etc., so that entrepreneurs can pay and use less.

 

2.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funds

1) Grant: It is the money which does not collect after the support.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pay back, it is the most advantageous in terms of founder.

2) Mortgage: The method of repaying interest and principal during the loan period.

3) Deposits: Guarantees provided by credit guarantees to founders who have insufficient collateral to make loans available.

 

3. Depending on the target

1) Youth-oriented business: Business targeted only for young people under 39 years old

2) General entrepreneurial business: business that is aimed at all founders regardless of age of founder

 

If you are a young man who is preparing to start a business, based on the above information, please visit the corporate website (http://www.bizinfo.go.kr) operated by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Check out various information.

 

Also, I need to know about how to keep my ideas.

If you are concerned about your ideas being exposed, you may want to consider how to register your intellectual property to protect your ownership :)

 


 

Now, let's look more closely at the projects that support young entrepreneurs ~

 

□ Small business start-up customized business

The start-up tailored business is a program that supports the pre-founders and start-up companies, from start-up education to commercialization, through start-up support institutions desired by consumers such as start-up leading universities and youth startups. When selected as a support target, up to 50 million won (knowledge service industry: 35 million won) can be subsidized. The business announcement is scheduled for the 4th week in March, and can be found at www.changupnet.go.kr.

 

□ Smart Venture Business School

The Smart Venture Business School supports education, startup space, and commercialization of founders in SW, apps and content. The metropolitan area is designated as Omnitel (http://omnisvi.org) and the non-metropolitan area a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ttp://svil.or.kr). The subsidy amount is up to 70% of the total project cost, up to 100 million won. This year, the application was received through VentureNet, and ended at 3.10 (Tuesday).

 

□ Leading University

Designated as the 21 leading start-up universities nationwide, we will support the young entrepreneurs from education to commercialization. If you are selected as a leading business university, you can receive up to 50 million won for start-up support. The status of the establishment of a leading business university and the business announcement this year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establishment web site (www.changupnet.go.kr) in March.

 

□ Start-up funds for youth

For young entrepreneurs, the funds required for entrepreneurship shall be borrowed in consultation with entrepreneurs who are under the age of 39 or entrepreneurs with less than one year of entrepreneurship. The loan limit is up to 100 million won and the loan period is 5 years (including the two-year grace period). Applications can be made through the intermediary headquarters (loan repayment adjustment type) or from IBK or Woori Bank (private financial matching type) at any time from the 1st of each month.

 

□ Young adult business exception guarantee

In the Credit Guarantee Fund and the Technology Guarantee Fund, there is a Young Business Incubation Guarantee that guarantees up to 95% of young entrepreneurs under the age of 39. We can get a full guarantee for less than 100 million won, and the guarantee rate is 0.3%, which is very low compared to the general guarantee (about 1.2%).

 

□ Creative Economy Town, Wuhan Imagination National Foundation Project

Creative Creation of the Future of Creation Science The unlimited imagination of the economic towns and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The national entrepreneurship project supports the commercialization of general national ideas. If you register your ideas in the Creative Economy Town (www.creativekorea.or.kr) and the Idea Audition (www.ideaaudition.com), you can evaluate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and help you through linking them to actual commercialization. Available at any time.

 

□ Local Government Youth Project

It is a program that supports young entrepreneurs with business start-up expenses, commercialization funds, education, and consulting by local governments such as Seoul, Gyeonggi, Busan, and Daegu. Although the local government project is smaller than the government such as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receive local government support from a long-term perspective, such as licensing and establishment. Application and selection are different for each municipality and it is necessary to watch the homepage of each municipality.

 

This is the fact that there are various businesses for entrepreneurship support!

If you look at the table below, you can see more information ~

Young people, please design my dreams with a solid government start-up support program!


創業成功の第一歩、創業支援金を取得する!

 

創業成功は容易ではないが、起業家精神を持って、アイデアがある青年は、挑戦してみるべきであるとすることができますか?

政府では、技術やアイデアに基づい創業を簡単にアクセスして、より容易に成功するように支援制度を備えていますよ。

青年創業の支援は、教育、事業化、資金などさまざまな方法で行われているが、

主にビジネスを行う主体も政府、地方自治体、公共機関などで多様に​​破壊することが好きです。

 

創業支援を正しく受けるためにサポート方式の理解が必要ですが。

そのいくつかの詳細を一度知ってみましょう。

 

1.サポート方式によって

1)直接サポート:創業者に直接資金を与える方式

(例えば、中小企業庁の創業カスタムビジネス、青年創業士官学校、自治体の青年創業支援事業など)

これらの事業は、支援対象に選ばれた創業者たちに事業化資金を与える方式で運営されています。

2)間接支援:創業者のインフラストラクチャを利用するようにする方式

大学や公共機関が運営する創業保育センターや中小企業庁の試作からのように

創業スペース、設備などを作成し、創業者が市中より少ない費用を支払って利用できるようにするようにしています。

 

2.資金の性格に応じて

1)補助金:サポートしてから回収していないお金である。返済する必要がないので、創業者の立場では、最も有利。

2)住宅ローン:ローンの期間中に利子と元本の返済ようにする方式。

3)デポジット:担保が不足している創業者に信用保証機関が保証することにより、融資が可能なように補完する。

 

3.サポート対象によって

1)青年向け事業:39歳以下の青年のみを対象とする事業

2)一般的な創業事業:創業者の年齢に関係なく、全体の創業者を対象とする事業

 

創業を準備する青年たちなら、上記の内容をもとに、中小企業庁で運営する企業の庭(http://www.bizinfo.go.kr)で

様々な情報を確認してみてください。

 

また、私の考えを保つ方法についても知っておくもの、必要なんです〜。

アイデアが露出する恐れがある場合は、知的財産権に登録して所有権を保護される方法を検討することもでしょう:)

 


 

さて、青年創業支援の代表事業をより詳細に調べてみましょう〜

 

□中小企業庁創業カスタマイズ事業

創業カスタマイズ事業は、予備創業者と創業初期の企業を対象に、創業リード大学、青年創業士官学校など需要者が望む創業支援機関を通じて創業教育から事業化まで一括サポートするプログラムである。サポート対象に選ばれれば、最大5千万ウォン(知識サービス業は3.5千万ウォン)まで事業化助成金の支援を受けることができる。事業発表は3月4週目予定でチャンオプネト(www.changupnet.go.kr)で確認することができる。

 

□スマートベンチャー創業学校

スマートベンチャー創業学校はSW、アプリ、コンテンツ分野創業者の教育、創業スペース、事業化を支援する。首都圏はオムニテル(http://omnisvi.org)、非首都圏は慶北大学校(http://svil.or.kr)に指定されている。支援金額は、総事業費の70%以内で、最大1億ウォンまでだが、今年の事業はチャンオプネトによる適用受け、3.10(火)に仕上げたが、SW創業を計画している場合、来年度の事業への参加を検討してみることができる。

 

□創業リード大学

全国21の創業リード大学を指定して、青年創業者の教育から事業化まで一括サポートする。創業先導大学事業に選定されると、最大5千万ウォンまで創業支援金を受けることができる。創業リード大学指定の現状と今年度の事業発表は3月中にチャンオプネト(www.changupnet.go.kr)を介して確認することができる。

 

□青年専用創業資金

青年向け創業資金は39歳未満の予備創業者または、創業1年未満の企業を対象に、起業に必要な資金をコンサルティングと連携して融資する。ローン限度は1億ウォンまでであり、融資期間は5年(据置期間2年以内を含む)である。申請は、毎月1日から中真空地域本部(融資償還金調整型)または頻繁に企業銀行。私たちの銀行(民間金融マッチング型)を介してとなる。

 

□青年創業特例保証

信用保証基金と技術保証基金には39歳以下の青年創業者の95%までを保証する青年創業特例保証がある。 1億ウォン以下については、全額保証を受けることができ、保証料率も0.3%で、一般保証(1.2%内外)に比べ非常に低い水準である。

 

□創造経済タウン、無限の想像国民創業プロジェクト

未来創造科学部の創造経済タウンと中小企業庁の無限の想像国民創業プロジェクトは、一般国民のアイデアの事業化を支援する。創造経済タウン(www.creativekorea.or.kr)、アイデアオーディション(www.ideaaudition.com)に自分のアイデアを登録すると、事業化の可能性についての評価を経て、実際の事業化されることができるよう連携支援を通じて手伝ってくれる。頻繁にお申し込み可能。

 

□自治体青年創業プロジェクト

ソウル、京畿、釜山、大邱など地方自治団体ごとに青年創業者に創業活動費と事業化資金、教育、コンサルティングを支援するプログラムである。自治体の青年創業プロジェクトは助成金の規模は中小企業庁など、政府よりも少ないが、許認可、創業以来、立地など、長期的な観点から、地方自治団体の支援を受けることができる点が長所である。適用および選定は自治体ごとに異なりますので、各自治体のホームページを注視する必要がある。

 

このように、創業支援のための様々な事業があるという事実!

下の表を見れば、さらに様々な情報を見ることができます〜

青年の皆さん、心強い政府創業支援プログラムと一緒に私の夢を設計みてください!

반응형


Posted by 교육자의 길
정보공유2017. 3. 30. 11:13
귀농귀촌 정보를 검색해보세요!
반응형

전라북도 정읍시 출산지원 장려금 정책자금 대출


개요

출산가정에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여 출산장려 분위기를 조성하고 양육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여 저출산에 대한 사회문제를 극복하기 위함 

지원대상

신생아의 출생일 기준으로 부 또는 모가 정읍시에 1년 전부터 계속하여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는 자가 출산한 자녀로 관내에 출생신고 한 자 

또는 신생아의 출생일 기준으로 부모 모두가 6개월 이상 1년 미만 거주하여 출산한 자녀로 관내에 출생신고 한 자 (2015년 10월 1일 출생아부터 적용되며 거주기간 1년 경과 후 지원대상이 됨)

출생순위

가족관계등록부상의 모(母)기준으로 출생순위 인정
※ 단, 재혼가정(법적부부)의 경우 가족관계등록부상 부(父) 또는 모(母)기준의 출생자녀를 인정하되, 신생아의 출생일 현재 부(父)와 모(母) 모두 주민등록상 동일세대를 구성하고 함께 등재된 자녀만 출생순위로 인정

지 원 액

첫째 30만원(일시금)/신설(2016년 1월1일 출생아부터 적용)

둘째 100만원(매월 20만원씩 5회 지급)

셋째 300만원(매월 30만원씩 10회 지급)

넷째이상 1,000만원(매월 50만원씩 20회 지급)

※ 분할지급 대상자 중 지원금 지급 기간동안 타 시·군 전출, 사망시에는 해당 월부터 지원금을 지급하지 않음.

신청방법

거주시 해당 읍 면 동사무소에 출생일로부터 12개월 이내 신청

구비서류

출산장려금 신청서 1부

가족관계등록부(모) 1부

주민등록등본 1부(필요시 주민등록초본 1부)

통장사본(보호자명의) 1부

개인정보처리동의서 1부

문의

샘골보건지소 출산보건팀 ☎ 539-6753

신청서 양식다운 : 여기를 클릭하시면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Jeongeup City, Jeollabuk-do Provides incentives for childbirth support

summary
In order to reduce the economic burden on the birth family and to create a favorable environment for promoting childbirth and overcome the social problems of low fertility
Supported
A child born to a parent or mother in Jeongeup-si based on the birth date of the newborn child who has resided for one year in advance and has registered as a resident.
Or a newborn child who has been born for more than 6 months and less than 1 year and who has notified the birth within the year of birth on the birth date of the newborn baby (Applies from 1 January 2015 to 1 year after the residence period)
Birth order
Recognition of birth order based on maternal basis of family registration enrollment
※ In the case of remarried family (legal coupl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birth child of father or mother on the basis of registered family relationship. However, as of birth date of the newborn baby, , And only those children who were enrolled together were classified as birth
Support amount
The first 300,000 won (monthly lump sum) / the new one (The first 100,000 won) The third 300,000 won (The 10th monthly payment 300,000 won) The fourth and the over 10 million won 20 times per 10,000 won)
※ During the period of grant payment among the persons eligible for partial payment, the grant will not be paid from the month when the person transfers to or departs from the city.
How to apply
Apply within 12 months from the date of birth to the relevant municipal office
required documents
(1) Copy of birth certificate (1) Copy of family register (1) Copy of resident registration (1 copy of resident registration if necessary) Copy of passbook (name of guardian)
question
National Health Insurance Bureau, National Health Insurance Bureau ☎ 539-6753
Application form download: Click here to download.

全羅北道井邑市出産支援奨励金政策資金の融資

概要
出産家庭に経済的負担を軽減して出産奨励雰囲気を造成し、育てるための良い環境を造成して少子化の社会問題を克服するため
サポート対象
新生児の出生日基準で父または母が井邑市に1年前から継続して住民登録を置いて居住する者が出産した子供に管内に出生申告した者
または新生児の出生日基準で両方の親が6ヶ月以上1年未満居住して出産した子供に管内に出生申告した者(2015年10月1日、出生児から適用され、居住期間1年経過後のサポート対象となる)
出生順位
家族関係登録簿の某(母)基準で生まれ順位認め
※ただし、再婚家庭(法的夫婦)の場合、家族関係登録簿部(父)またはモー(母)基準の出生の子供を認めるが、新生児の出生日現在部(父)と某(母)の両方住民登録上の同一世帯を構成し、一緒に登録された子供だけ出生順位と認め
サポート液
まず30万ウォン(一時金)/新設(2016年1月1日出生児から適用)第二100万ウォン(毎月20万ウォンずつ5回支給)第三300万ウォン(毎月30万ウォンずつ10回支給)第四以上1,000万円(毎月50万ウォンずつ20回支給)
※分割支給対象者の支援金支給期間中に他の市・郡転出、死亡時には、その月から支援金を支給していない。
申し込み方法
居住時に、その町面役場に出生の日から12ヶ月以内の申請
書類
出産奨励金申請書1部、家族関係登録簿(某)1部住民登録謄本1部(必要に応じて住民登録抄本1部)通帳のコピー(保護者名)1部個人情報の処理同意書1部
お問い合わせ
泉谷保健支所出産ボゴンチム☎539-6753
申請書ダウンロード:こちらをクリックするとダウンロードできます。


반응형


Posted by 교육자의 길
정보공유2017. 3. 29. 19:04
귀농귀촌 정보를 검색해보세요!
반응형

귀농정착 사례


1. 인적 사항

 

○ 성 명 : 정장호

○ 주 소 : 경북 포항시 북구 신광면 토성2리 179-5

○ 재직기간 : 1975 ~ 2009 / 33년간 근무

○ 근무부서 : 포스코 제강부 제3연주공장

 


2. 농가 현황

 

○ 경지규모 : 2,900평 (논 2,000평, 밭 900평)

○ 농작물 재배 : 벼, 콩, 고추, 감자 등

○ 농기계 보유 : 관리기 2대, 분무기 1대

 


3. 귀농 과정

 

○ 1975년 10월에 포스코 제강부에 입사하여 33년간 봉직하고 2009년도에 정년퇴직하였음

 

○ 2009년도 퇴직 후 현재 거주하는 고향에 물려받은 땅에 체험위주로 다양한 농작물을 재배하며 농사경험을 쌓았음

 

○ 시내에 거주하던 중 실질적인 귀농을 위하여 포항시농업기술센터 귀농귀촌(3개월 과정 / 2011년도 상반기) 교육을 이수하였음

 

○ 포스코에코팜(Poscoecofarm)에서 2011년도부터 2014년까지 귀농에 필요한 다양한 교육과정을 두루 이수하였음

 

- 2011년 상반기 : 귀농귀촌과정(1박 2일) 수료

 

- 2012년 상반기 : 귀농귀촌과정(1박 2일), 포도전문과정(3개월)수료

 

- 2013년 상반기 : 친환경신농법 과정(1일) 수료

 

- 2013년 하반기 : 황토집짓기 과정(14일) 수료

 

- 2014년 상반기 : 버섯재배과정(1일), 소목공예과정(2일) 수료


 

○ 2010년도에는 시내에서 농장으로 출퇴근하면서 체험삼아 고추, 콩, 옥수수 등 다양한 농작물을 재배하면서 농사기술을 익혔음

 

○ 농사기술 없이는 영농정착이 어렵다는 점을 인식하고, 2011년도부터는 농업기술센터와 에코팜 등 농업교육기관을 찾아 필요한 전문지식을 두루 익히면서 농작물 재배기술을 연마하였음

 

○ 특히 에코팜 및 농업기술센터에서 받은“귀농귀촌 과정”교육 내용을 거울삼아 2012년도에는 시내의 집을 청산하고 9월에 농장 가까이에 전원주택을 지어 실질적인 귀농을 하였음

 

○ 농촌에서의 생활은 마을 주민들과의 화합이 가장 큰 요건이라는 것을 실제 생활하면서 피부로 느끼게 되었는데, 교육과정을 통하여 익혔던 내용들이 마을사람들과의 유대관계 개선에 많은 도움이 되었음


 

4. 농장 경영

 

○ 2012년도 9월에 30평 규모로 전원주택을 짓고 농장이 있는 고향마을로 귀농한 이후 2,900평의 땅에 벼, 콩, 감자, 고추 등 일반작물을 재배하며 실질적인 귀농1년차를 마무리하였는데, 생각했던 것 보다 농장을 경영한다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절실히 느꼈음

 

○ 특히, 농작물 생산 보다는 판매가 더욱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재배하기에 쉬운 작물보다는 판매하여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작물재배에 관심을 두게 되었음

 

○ 2012년도 이후 2014년까지 벼농사, 고추, 콩 등 일반작물 재배 중심으로 농장을 경영한 결과 소득이 높지 않아 2015년도 부터는 소득성이 높으면서도 일손을 줄일 수 있는 소득작물 위주로 재배할 계획임

 

○ 2015년도 농작물 재배 계획

 

- 논 2,000평 : 벼 재배

 

- 밭 900평 : 슈퍼도라지 600평, 콩.고추 등 300평

 

- 표고버섯 : 50본


 

5. 앞으로의 계획

 

2015년도에는 적은 면적에 비닐멀칭을 하고 모종을 키워 슈퍼도라지를 재배함으로써 일손을 줄이면서 연차적으로 재배면적을 확대하여 더덕, 도라지 등 약용작물 전문농장으로 가꾸어 갈 계획임



帰農定着事例


1.個人情報

 

○氏名:ジョンジャンホ

○住所:慶北浦項市北区シングァンミョン土星2リ179-5

○在職期間:1975〜2009/33年間勤務

○勤務部署:ポスコジェガンブ第3の演奏工場

 


2.農家の現状

 

○耕地規模:2,900坪(ノン2,000坪、畑900坪)

○農作物の栽培:水田、​​豆、ピーマン、ジャガイモなど

○農業機械保有:管理機2台、噴霧器1台

 


3.帰農過程

 

○1975年10月にポスコジェガンブに入社して33年間奉職し、2009年度に定年退職したこと

 

○2009年度の退職後の現在居住している故郷に受け継がれた土地に体験を中心に、様々な作物を栽培し、農業の経験を積んで音

 

○市内に居住していたの実質的な帰農のために浦項市農業技術センター帰農帰村(3ヶ月のコース/ 2011年度上半期)教育を履修だった

 

○ポスコエコパーム(Poscoecofarm)で2011年度から2014年までに帰農に必要な多様な教育課程をあまねく履修だった

 

- 2011年上半期:帰農帰村コース(1泊2日)修了

 

- 2012年上半期:帰農帰村コース(1泊2日)、ブドウの専門課程(3ヶ月)修了

 

- 2013年上半期:環境にやさしい新農法のプロセス(1日)修了

 

- 2013年の下半期:黄土家作りのプロセス(14日)修了

 

- 2014年上半期:キノコ栽培の過程(1日)、小木工コース(2日)修了


 

○2010年度には、市内での農場に通勤しながら体験三唐辛子、大豆、トウモロコシなど、様々な農作物を栽培しながら農作業技術を身にられたこと

 

○農業技術なし営農定着が難しいという点を認識し、2011年度からは、農業技術センターとエコパームなどの農業教育機関を見つけて、必要な専門知識をあまねく学びながら農作物栽培技術を磨くたこと

 

○特にエコファームと農業技術センターで受信した「帰農帰村コース」教育内容を鑑み、2012年度には、市内の家清算し、9月に農場の近くに電源の住宅を建て、実質的な帰農をしたこと

 

○農村での生活は、村の住民との和合が最大の要件であることを、実際の生活の中で、皮膚に感じましたが、教育課程を通じて慣れていた内容が、村の人々との関係改善に多くのことがされました


 

4.ファーム経営

 

○2012年度の9月に30坪規模で、電源の住宅を建てて農場がある故郷の村に帰農した後、2,900坪の土地に稲、大豆、ジャガイモ、ピーマンなど一般的な作物を栽培し、実質的な帰農1年目を終えたが、思っていたより農場を経営するということが容易ではないことを切実に感じた

 

○特に、作物の生産ではなく、販売、さらに重要であることを認識して栽培するのに簡単な作物より販売して利益を上げることができる作物の栽培に興味を置くた

 

○2012年度以降2014年までに、稲作、唐辛子、豆など一般的な作物の栽培を中心に農場を経営した結果、所得が高くなく、2015年度から所得性が高く、しかも人手を減らすことができる所得作物を中心に栽培する計画である

 

○2015年度の作物栽培計画

 

- ノン2,000坪:稲の栽培

 

- 畑900坪:スーパー桔梗600坪、豆。唐辛子など300坪

 

- シイタケ:50本


 

5.今後の計画

 

2015年度には、以下の面積にビニールマルチングをして苗を育てスーパー桔梗を栽培することにより、人手を削減しながら、年次的に栽培面積を拡大してツルニンジン、キキョウなど薬用作物専門農場で育てていく計画である


Examples of settlement


1. Personal Information

 

○ Name: Jeong Jang Ho

○ Address: 179-5, Satoshi-ri, Singwang-myeon, Buk-gu, Pohang-si, Gyeongsangbuk-do

○ Working period: 1975 ~ 2009/33 years working

○ Working department: POSCO steel mill 3rd performance factory

 


2. Farm Status

 

○ Land size: 2,900 pyeong (2,000 pyeong, 900 pyeong field)

○ Cultivation of crops: rice, beans, peppers, potatoes, etc.

○ Agricultural machinery: 2 managers, 1 sprayer

 


3. Earliness process

 

○ He joined POSCO Steel Works in October 1975 and served for 33 years and retired in 2009

 

○ After retirement in 2009, I cultivated a lot of farming experience by cultivating a lot of experience mainly in the land that I inherited from my hometown.

 

○ While living in the city, I have completed the training of Pohang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Guinea Village (3 months course / first half of 2011) for practical earnestness.

 

○ Poscoecofarm took various training courses from 2011 to 2014 for ear training.

 

- 1st half of 2011: Completion of 2 days and 2 days of Guan Yin Village

 

- First half of 2012: Earn-outs course (1 night 2 days), Grape specialty course (3 months)

 

- First half of 2013: Completion of eco-friendly new farming course (1 day)

 

- In the second half of 2013: Completion of the yellow clay house building (14 days)

 

- First half of 2014: Mushroom cultivation (1 day), woodworking (2 days) completion


 

○ In 2010, I went to the farm in the city and experienced farming techniques while cultivating a variety of crops including pepper, soybean, and corn.

 

○ Recognizing that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farming without farming technology, in 2011, I started to cultivate crop cultivation skills by studying necessary technical knowledge by searching agricultural education institutions such as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and eco farm.

 

○ In particular, in order to reflect the contents of the training on "ear harvesting course" received from eco-farm and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the house in the city was closed in 2012, and in September,

 

○ Living in rural areas was felt to be the most important requirement of harmony with the villagers. The contents learned through the training course helped to improve ties with the villagers.


 

4. Farm management

 

○ In September of 2012, I built a farm house with 30 pyeong scale and went back to my hometown where there is a farm. I then cultivated rice, beans, potatoes, red peppers and other common crops in the land of 2,900 pyeong. I felt that it was not easy to run a farm rather than a farm.

 

○ In particular, recognizing that sales are more important than crop production, they are interested in cultivating crops that can be sold and profitable rather than easy to grow.

 

○ From 2013 to 2014 As a result of managing farms with general crop cultivation such as rice growing, red pepper, and soybeans, income is not high, and it is planned to grow mainly from income-generating crops with low income earners

 

○ 2015 crop cultivation plan

 

- rice field 2,000 pyeong: rice cultivation

 

- Field 900 pyeong: Super bellflower 600 pyeong, bean, pepper 300 pyeong

 

- Shiitake mushrooms: 50 pcs


 

5. Future plans

 

In 2015, we plan to grow into a farm specialized in medicinal crops such as red mullet and bellflower by increasing the annual cultivation area while reducing the workload by cultivating supermarket bellflower with vinyl mulching in small area and growing seedlings.




반응형


Posted by 교육자의 길
정보공유2017. 3. 29. 18:35
귀농귀촌 정보를 검색해보세요!
반응형

전라남도 강진군 작천 귀농인의 집

ㆍ귀농인의 집 명칭강진군 작천 귀농인의 집
ㆍ주소전남 강진군 작천면 평기리
ㆍ대표자김흥
ㆍ전용면적(㎡)/구조66㎡ / 전통한옥을 리모델링 / 방3개, 실내화장실, 싱크대 설치
ㆍ입주자 자격기준
  (우선순위) 및 선정절차
- 우선순위 : ① 해당지역 귀농예정자 ② 귀농교육 이수자 ③ 전 가족 이주 순
- 선정방식 : 전화, 래방자 접수 → 면접(신원확인) 및 선정 → 입주계약 → 입주
ㆍ입주기간(개월)6개월이하(대기자가 없을 경우 1회 연장 가능)
ㆍ임대료 등 입주자 부담액월 50,000원(관리비, 수도, 전기, 난방비 등)
ㆍ현재 입주자 현황입주기간 : ‘11.5.10~’11.11.10까지(본인집 구하는 시기까지), 입주인원 : 1명
ㆍ행정기관ㆍ관리책임자[미등록] / 강진군
ㆍ연락처061-430-3644
강진군 작천 귀농인의 집 게시물의 첨부파일 : 4.jpg강진군 작천 귀농인의 집 게시물의 첨부파일 : 3.jpg강진군 작천 귀농인의 집 게시물의 첨부파일 : 2.jpg강진군 작천 귀농인의 집 게시물의 첨부파일 : 1.jpg
입주자 지원프로그램 내용(상세하게 기술)
농작업 기술 교육, 주택 및 농지알선, 체험농장 알선, 마을주민 화합의 장 제공 등
귀농인의 집 주위에 대표자의 농장이 붙어 있음.


House of Gyokcheon farmers in Gangjin-gun, Jeollanam-do


ㆍ Name of the house of the farmer

ㆍ Address Jeolgi-do, Gwacheon-myeon, Gangjin-gun, Jeollanam-do

ㆍ representative Kim Heung

ㆍ Private Area (㎡) / Structure 66㎡ / Remodeling Traditional Hanok / 3 rooms, Indoor WC, Sink

ㆍ Eligibility criteria

  (Priority) and selection procedure - Priority: ① Prospective earner ② Proof of ear training ③ Whole family migration

- Selection method: Telephone, Ravens reception → Interview (identification) and selection → Moving contract → Moving in

· Period of stay (months) 6 months or less (extension is possible once without waiting list)

ㆍ Monthly rent of 50,000 won per month (maintenance, water, electricity, heating, etc.)

ㆍ Current residents' period: From '11 .5.10 ~ '11 .11.10 (until the time of collection), Number of residents: 1

ㆍ Administrative agency ㆍ administrative director [unregistered] / Gangjin-gun

ㆍ Contact 061-430-3644

4.jpg Attached file of house post of Gangjin-gun, Gachin-euphinin: 3.jpg Attached file of house post of Gachin-gun, Gachin-euphonin: 2.jpg House post of Gachin- Attached file: 1.jpg

Details of tenant support program (detailed description)

Farming skill training, housing and agricultural land recruitment, experience farm arrangement, village residents' unity, etc.

There is a representative's farm around the house of the farmer.


全羅南道康津郡ジャクチョン帰農者の家


及び帰農者の家名称康津郡ジャクチョン帰農者の家

・住所全羅南道康津郡ジャクチョンミョンピョンギリ

及び代表者ギムフン

及び専用面積(㎡)/構造66㎡/伝統韓屋を改装/ 3部屋、屋内トイレ、流し台設置

及び入居者の資格基準

  (優先順位)と選定手続き - 優先順位:①地域帰農予定②帰農教育履修者③前の家族の移住順

- 選定方式:電話、下防磁受付→面接(身元確認)と選定→入居契約→入居

及び入居期間(ヶ月)6ヶ月未満(待機がない場合は、1回の延長が可能)

及び家賃等入居者負担額月50,000ウォン(管理費、水道、電気、暖房費など)

及び現在の入居者の現状入居期間:'11 .5.10〜'11 .11.10まで(本人家取得時期まで)、入居人数:1人

及び行政機関・管理責任者[未登録] /康津郡

及びコンタクト061-430-3644

康津郡ジャクチョン帰農者の家のポストの添付ファイル:4.jpg康津郡ジャクチョン帰農者の家のポストの添付ファイル:3.jpg康津郡ジャクチョン帰農者の家のポストの添付ファイル:2.jpg康津郡ジャクチョン帰農者の家のポストの添付ファイル:1.jpg

入居者支援プログラムの内容(詳細に技術)

農作業技術教育、住宅や農地の斡旋、体験農場斡旋、村の住民和合の場の提供など

帰農者の家の周りに代表の農場がついている。

반응형


Posted by 교육자의 길
정보공유2017. 3. 29. 18:31
귀농귀촌 정보를 검색해보세요!
반응형

체류형농업창업지원센터


사업대상자

시장 · 군수(수도권 및 광역시 제외)

지원자격 및 요건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시 · 군은 신청일 현재 귀농 또는 귀농 · 귀촌 관련 지원조례를 제정 · 운영하고 있는 시 · 군으로 한정함.

참여를 희망하는 시장 · 군수는 도시민 등 귀농 희망자를 대상으로 적극적인 유치 의지 및 각종 선행 실적(우수 사례 등), 농업인, 농업인 단체 등 지역주민이 스스로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 등 귀농 · 귀촌 활성화에 필요한 여건이 갖추어진 시 · 군을 우선 선정

지원대상

체류형 ‘농업창업지원센터 조성(건립)에 필요한 하드웨어지원 사업이며, 준공 후 ‘창업지원센터’ 운영은 지자체의 재정 지원, 임대료 및 관리비 등을 통한 각종 수익 · 재원을 확보하여 안정적으로 운영하여야 함.

시장 · 군수는 입주민의 모집과 조기 적응 및 향후 안정적 정착까지 연계 · 지원할 수 있는 귀농 · 귀촌 활성화에 필요한 전담 조직 및 인원을 확보 · 배치할 것.

지원자금의 사용용도

본 사업은 town형태의 ‘창업지원센터’를 조성하여 도시민 또는 귀농 실행단계의 예비 농업인에게 단 · 중기단위(1~2년 이내)로 일정 공간에서 주거제공과 창업 실습 및 교육 등에 필요한 시설을 건립하는 지원하는 사업임.

입주 예정자는 해당 ‘창업지원센터’ 입주 종료 후, 동 권역내의 시 · 군으로 향후 2년 이내에 귀농을 하고자 하는 자 중에서 정부 또는 지자체 귀농 · 귀촌 교육을 100시간 이상 이수한 자 또는 1개월 이상 합숙교육 이수한 자. (사이버 교육은 최대 50시간만 인정)

해당 시 · 군은 예비 입주자 모집 시 입주요강 및 귀농 사업계획서 등 향후 실행계획을 사전에 제출받아 서면심사 및 면접 등을 통하여 엄선하여야 하며 귀농 이주 시기 및 연령 등을 감안하여 우선 선발할 수 있음.

* 이수 시간 인정은 농식품부장관 및 도지사가 인정하는 교육으로 한정함.

입주 예정자는 ‘창업지원센터’에서 일정 기간 체류하면서 세대별 텃밭, 공동 실습농장(과수원 및 시설하우스 등) 등을 활용하여 직접 농작물 재배 · 포장 · 마켓팅 등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운영

시장 · 군수는 공무원, 마을주민, 전문가, 지역 농업인단체 대표, 신지식농업인, 귀농 · 귀촌협의회 대표 등이 참여하는 『민 · 관 합동 농업창업지원센터 운영위원회』를 설치 · 운영(이하 ‘창업센터 운영위원회’)하여야 하며, 센터별 연간 세부운영계획과 입주 세대별 연간 세부운영계획을 수립 · 운영하여야 함

시장 · 군수는 센터 연간 세부운영계획 수립 · 운영 시, 입주민의 자조조직인 ‘입주자운영회’를 구성 · 운영하고, 운영회의 활성화에 필요한 관계 공무원, 외부 전문가 등으로 구성한 자문위원을 두어야 함.

주요 체재시설(예) : 주거공간(통나무집 · 황토집 등), 세대별 텃밭(채소, 고구마 등), 교육시설(세미나실, 상담실 등), 실습농장(과수 및 산채 등 특작), 시설하우스, 공동 퇴비장, 공동자재보관소, 쉼터 등

총 부지면적은 30,000㎡ 내외 확보, 부지매입비는 총사업비의 25% 이내에서 집행하고 추가 매입비용 발생 시에는 지자체에서 부담할 것.

주거공간(50㎡ 내외), 세대별 텃밭(300㎡ 내외), 교육시설(660㎡ 내외), 공동체 실습농장(3,300㎡ 내외), 및 공동체 시설하우스(1,000㎡ 내외), 공동 퇴비장(100㎡ 내외), 공동 자재보관소(100㎡ 내외) 등으로 구성 단, 세대별 전용면적 등은 다양한 유형으로 조성할 수 있음.

공동체 실습농장 구성비(예) : 지역 특성을 반영하여 과수 · 유실수(60%), 약초 · 산채(20%), 채소밭(20%) 등 최적의 실습 · 체험 기회 제공

과수 · 유실수 : 해당 지역 특작물(사과, 포도, 자두, 매실, 체리 등) 식재 · 운영

산채 · 약초 : 두릅, 엄나무, 오가피, 도라지, 취나물, 고사리 등 식재 · 운영

공동체 시설하우스 : 시설을 활용한 계절별 채소 등 재배(쌈채류, 토마토 등)

세대별 텃밭 : 입주자별 운영 계획에 따라 자율관리(계절별 채소, 약초 등)

공동체농장과 공동체시설은 시 · 군이 입주자의 의견과 전문가 등의 자문을 받아 최적의 작목선택, 가구당 면적 배분 및 운영 프로그램 등을 수립 · 운영하여야 함.

시장 · 군수는 전문가의 지속적인 교육과 상담을 실시하여 입주자에게 기초영농기술, 작목별 심화기술 습득, 수확 후 관리기술, 선별 및 포장, 직거래 및 판매 등 마켓팅기법 등 One-Stop 창업과정으로 운영할 것.

창업지원센터장은 해당 시 · 군의 농정총괄부서장(농정과장 또는 기술센터소장)이 겸직하여야 하며, 지역 내 농어업회의소 회장 또는 신지식농업인 등 선도농가 또는 우수 농업법인 대표 등을 명예귀농학교장으로 지정 · 운영할 수 있음.

* 필요시 귀농귀촌교육전문기관 또는 농업창업관련 대학 등을 통하여 위탁 가능함.

또한 농업기술센터 공무원, 외부 전문가 등을 전담 배치하거나 자문을 통하여 입주자들에게 각종 영농정보와 농업기술, 행정지원 등 제공

해당 지역별 귀농 창업에 필요한 지역특화품목 심화교육(이론 · 실습 · 인턴 등) 및 실제 정착까지 전 과정에 대한 One-Stop 서비스 지원 시스템 구축 · 운영

예시) 충북 제천시(한방약초, 사과, 오미자 등), 경북 영주시(사관, 인삼, 쌀, 자두 등)

지원형태 및 사업 의무량

재원 : 농특회계/농특세계정

지원 기준 : ‘13년도 지원규모 : 총사업비 16,000백만원(국고 8,000/지방비 8,000)

산출내역 : 2개 시 · 군 × 16,000백만원×국고보조율 50%)

지원액 및 조건 : 시·군당(개소당) 1년간 총사업비 8,000백만원(국고보조 4,000, 지방비 4,000)

지방비(50%) 중 도비와 시·군비 부담비율은 지자체의 여건에 따라 도와 시·군이 협의?결정하되, ‘13년도 시범 사업 시 · 군은 최소 3(도) : 7(시 · 군) 비율 이상을 충족시킬 것

지원한도액 기준 및 범위

체류형 주택, 농업생산, 창업실습 및 교육시설 등 귀농인 인큐베이터사업

산출내역 : 16,000백만원(2개소×8,000백만원,국비보조 50%)

총사업비 중 부지매입 비용(총사업비의 25% 이내)은 해당 시 · 군의 시 · 군유지를 대체하는 경우 평가액만큼 지방비 부담(현물 부담)으로 인정할 수 있음.

시 · 군유지로 대체할 경우 해당 시 · 군은 지방재정법, 부동산 가격공시 및 감정평가에 관한 법률 등의 제 규정에 의한 감정평가법인 2이상에게 의뢰하되, 평가한 감정평가액을 산술평균한 금액으로 결정하고 공개한 경우에만 인정함.

감정평가 의뢰 및 평가 결과 공개는 본 사업지침 시행 이후에 실시하여함.

장소

운영중 (‘15)금산,  제천, ('16)영주, 홍천, 구례

운영예정  (‘17) 고창, 영천,  함양





滞在型農業創業支援センター


事業対象者

市長・郡守(首都圏と広域市を除く)

サポートの資格と要件

事業参加を希望する市・郡は、申請日現在帰農や帰農・帰村関連支援条例を制定・運営している市・郡に限定する。

参加を希望する市長・郡守は、都市民など帰農希望者を対象に、積極的な誘致意志と各種先行実績(ベストプラクティスなど)、農業、農業者団体など地域住民が自ら参加できる雰囲気づくりなど帰農・帰村活性化に必要条件この整った市・郡を優先選定

サポート対象

滞在型」農業創業支援センターの造成(建設)に必要なハードウェア支援事業であり、竣工後、「創業支援センター」の運営は地方自治体の財政支援、使用料および管理費などを通じた各種利益・財源を確保して安定的に運営なければならない。

市長・郡守は、入居者の募集や早期適応と今後安定定着までの連携・支援することができる帰農・帰村活性化に必要専担組織と人員を確保・配置すること。

支援資金の使用用途

本事業は、town形態の「創業支援センター」を造成して都市民や帰農実行段階の予備農業に段・中期単位(1〜2年以内)に一定の空間で住宅の提供と創業実践及び教育等に必要な施設を建設する支援する事業である。

入居予定者は、「創業支援センター」入居終了後、同圏域内の市・郡で、今後2年以内に帰農をしようとする者の中から、政府や自治体帰農・帰村教育を100時間以上履修した者、または1ヶ月以上合宿教育履修者。 (サイバー教育は、最大50時間認定)

その市・郡は、予備入居者募集時入居要項と帰農事業計画書など、今後の実行計画を事前に提出を受け、書面審査と面接などを通じて厳選なければならず帰農移住時期や年齢などを勘案して、まず選抜することができている。

*履修時間認定は農食品部長官と知事が認める教育に限定する。

入居予定者は、「創業支援センター」で一定期間滞在しながら世代別家庭菜園、共同実習農場(果樹園や施設ハウスなど)などを活用して、直接農作物栽培・包装・マーケティングなどを直接体験することができるプログラムとして動作

市長・郡守は、公務員は、町の住民、専門家、地域農業団体の代表者、新知識農業、農家・帰村協議会代表などが参加する「官民合同農業創業支援センター運営委員会」を設置・運営(以下「創業センター運営委員会」)しなければならず、センター別年間詳細運営計画と入居世帯別年間詳細運営計画を樹立・運営しなければならない

市長・郡守は、センター年間詳細運営計画の樹立・運営時、入居者の自助組織である「入居者運営会」を構成・運営して、運用会議の活性化に必要な関係公務員、外部の専門家などで構成された諮問委員をおくこと。

主な滞在施設(例):居住空間(キャビン・ファントジプなど)、世代別家庭菜園(野菜、サツマイモ等)、教育施設(セミナー室、相談室など)、実習農場(果樹や山菜など特作)、施設ハウス、共同トゥェビジャン、共同資材保管、避難所など

総敷地面積は30,000㎡内外の確保、敷地購入費は総事業費の25%以内で執行して、追加仕入れコストの発生時には、自治体の負担すること。

住居空間(50㎡内外)、世代別家庭菜園(300㎡前後)、教育施設(660㎡内外)、コミュニティ実習農場(3,300㎡内外)、およびコミュニティ施設ハウス(1,000㎡内外)、共同トゥェビジャン(100㎡前後)、共同資材保管(100㎡内外)などで構成ただし、世代別専用面積等は、様々なタイプに造成することができている。

コミュニティ実習農場構成比(例):地域特性を反映して果樹・実のなる木(60%)、薬草・山菜(20%)、菜園(20%)など、最適の実習・体験の機会を提供

果樹・実のなる木:地域特作水(リンゴ、ブドウ、プラム、梅、チェリーなど)食材・運営

山菜・薬草:ウコギ、オムナム、五加皮、キキョウ、チュウィナムル、ワラビなどの食材・運営

コミュニティ施設ハウス:施設を活用した季節野菜などの栽培(サムチェリュ、トマトなど)

世代別家庭菜園:テナント星運営計画に基づいて自律管理(季節野菜、薬草など)

コミュニティの農場とコミュニティ施設は、市・郡が、入居者の意見や専門家などの助言を受けて、最適の作目の選択、世帯当たりの面積配分と運用プログラム等を樹立・運営しなければならない。

市長・郡守は、専門家の継続的な教育と相談を実施して、入居者に基礎営農技術、ジャクモクビョル深化技術習得、収穫後の管理技術、選別、包装、直接取引や販売などマーケティング手法などOne-Stop創業過程で運営すること。

創業支援センター長は、市・郡の農政担当部長(農政課長または技術センター所長)が兼職しなければならず、地域内の農漁業会議所会頭や新知識農業人などリード農家や優れ農業法人の代表などを名誉帰農校長に指定・運営することができている。

*必要に応じて帰農帰村教育専門機関や農業創業関連大学等を通じて委託可能。

また、農業技術センター職員、外部の専門家などを担当配置したり、アドバイスを通じて入居者たちに各種営農情報と農業技術、行政支援などを提供

この地域帰農創業に必要な地域特化品目深化教育(理論・実習・インターンなど)と実際の定着までの全過程のOne-Stopサービス支援システムの構築・運営

例示)忠清北道堤川市(漢方薬草、リンゴ、五味子など)、慶尚北道栄州市(士官、高麗人参、米、プラムなど)

支援形態と事業義務量

財源:農業特産会計/ノントゥクセアカウント

サポート基準:'13年の支援規模:総事業費16,000百万ウォン(国庫8,000 /地方費8,000)

算出内訳:2つの市・郡×16,000百万ウォン×国庫補助率50%)

支援額と条件:市・軍(箇所あたり)1年間の総事業費8,000百万ウォン(国庫補助4000、地方費4,000)

地方費(50%)のうちドビー市・軍備負担割合は、自治体の条件に応じて支援市・郡が協議?決定するが、'13年度のモデル事業の市・郡は、少なくとも3(図):7(市・郡)割合以上を満たすこと

サポート限度額基準と範囲

滞在型住宅、農業生産、創業実践と教育施設など帰農なインキュベーター事業

算出内訳:16,000百万ウォン(2ヶ所×8,000百万ウォン、国費補助50%)

総事業費のうち敷地購入費用(総事業費の25%以内)は、市・郡の市・グンユジを交換する場合の評価額だけ地方費負担(現物負担)で認めることができている。

市・グンユジに置き換えた場合は、市・郡は地方財政法、不動産価格公示及び鑑定評価に関する法律等の諸規定による鑑定評価法人2以上に依頼するが、評価した鑑定評価額を算術平均した金額で決定して公開した場合にのみ認める。

鑑定評価依頼と評価結果の公開は、本事業のガイドライン施行後に実施してする。

場所

運営中('15)錦山、堤川、('16)永住、洪川、求礼

運営予定('17)高敞、永川、涵養



Residence-type agricultural enterprise support center


Business person

Market · Logistics (excluding metropolitan and metropolitan cities)

Eligibility and Requirements

City and county wishing to participate in the project shall be limited to cities and counties that enact and operate the enforcement ordinance related to ear harvest or ear harvest /

The markets and logistics that are expected to participate include the willingness to attract active citizens such as urban residents and various prior achievements (such as best practices), the conditions necessary for revitalizing the farms and villages, such as creating an atmosphere in which local residents can participate, such as farmers and farmers' groups Firstly, the city and the army equipped with this

Supported

The establishment of 'Start-up Support Center' is a hardware support project necessary for the establishment (establishment) of a residence type 'Agricultural Start-up Support Center'. The establishment of 'Start-up Support Center' should secure various revenue and financial resources through the financial support of the local government, .

The market and logistics should secure and arrange a dedicated organization and personnel necessary for revitalization of rehabilitation and settlement villages that can link and support the recruitment of residents and early adjustment and stable settlement in the future.

Use of Support Funds

Establishment of 'township support center' in the form of town to establish facilities necessary for housing provision, establishment training and education in a certain space in a single or medium term unit (within 1 ~ 2 years) Is a supporting business.

Those who intend to move into the country will be required to complete the "Start-up Support Center" after completing the "Start-up Support Center." Those who intend to return to the city or county within the next two years, character. (Cyber ​​education can only be recognized for up to 50 hours)

The cities and counties should submit their plans for future prospects such as the residency plan and the remuneration plan at the time of recruitment of preliminary residents in advance, and they should be carefully selected through written examination and interview.

* Acceptance of study hours is limited to education recognized by the Minister of Agriculture and Food and the Governor.

Those who are planning to move in will stay in the 'Start-up Support Cent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operate a program that allows them to directly experience cultivation, packaging and marketing of crops by utilizing household gardens by households and joint lab farms (such as orchards and facility houses)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Citizen and Cooperative Joint Agricultural Development Support Center Operation Committe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establishment of a business incubation center") in which the mayors and municipal governments participate in public officials, village residents, experts, representatives of local farmers' groups, Committee ') and establish and operate an annual detailed operational plan for each center and an annual detailed operational plan for each household.

When establishing and operating a detailed annual operation plan for the center, the mayor / municipal administration should organize and operate a "resident management board", a self-help organization for residents, and have advisory committees composed of related civil servants and external experts necessary for activating the operational meetings.

Major facilities (eg): Residential areas (such as log cabins and roots), household gardens (vegetables, sweet potatoes), educational facilities (seminar rooms, counseling rooms, etc.) Joint composting, joint storage, shelter, etc.

The total land area is about 30,000㎡, the land purchase cost is 25% of the total business cost, and the local government will bear the cost when additional purchase cost is incurred.

(About 3,300㎡), community facility house (about 1,000㎡), communal composting room (about 100㎡ inside and outside), residential space (around 50㎡), household garden ), And a common storage room (about 100 square meters). However, the area for each household can be created in various types.

Community Practice Farm Ratio (Example): Provide the best practice and experience opportunities such as fruit trees and fruit trees (60%), herbal and wild plants (20%) and vegetable fields (20%)

Fruit, fruit juice: Local specialties (apples, grapes, plums, plums, cherries, etc.)

Wild plants and herbs: Planting and operating plants such as arboreum, oak, oak, bellflower, fern and bracken

Community facility house: Seasonal vegetables grown using facilities (pancakes, tomatoes, etc.)

Households by households: Self-management (seasonal vegetables, herbs, etc.)

Community farms and communal facilities should be established and operated by city and county with the opinions of residents and consultation with experts to select the optimal site, allocate area per household, and operate programs.

The market and logistics will be operated as a one-stop start-up process, such as basic farming technology, deep-rooted technology acquisition, post-harvest management technology, selection and packaging, and direct marketing and sales marketing techniques.

The head of the incubation support center should be the head of the head of the agriculture and general affairs department of the relevant city and county (head of the agricultural affairs department or the technology center), and designate and operate the head farmers' You can.

* If necessary, it can be entrusted through the specialized training institutes of agriculture or agriculture in China.

In addition, we provide various farming information, agricultural technology, administrative support to residents through private placement or consultation of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officials and external experts.

Establish and operate a one-stop service support system for the whole process ranging from enrichment education (theory, practice, internship) and actual settlement necessary for local self-help establishment

For example, Chungcheongbuk-do Jecheon (herbal medicine herb, apple, omija, etc.), Gyeongbuk Yeongju (captain, ginseng, rice,

Type of support and business obligations

Financial resources: Rural accounting / RMB tax account

Supporting standards: Scale of support in '13: Total business expenses 16,000 million won (8,000 national treasury / 8,000 local government expenses)

Output: 2 cities and counties × 16,000 million won × government subsidy rate 50%)

Amount and Condition: City, county (per location) Total annual expenses 8,000 million won (Government subsidy 4,000, local cost 4,000)

The proportion of the local expenses (50%) and the city and army burden ratio shall be decided by the city and county in accordance with local conditions, More than ratio

Support limit criteria and scope

Residents Incubator business including residence-type housing, agricultural production, establishment training and education facilities

Output: 16,000 million won (2 locations × 8,000 million won, 50% of subsidy)

The cost of purchasing the site (within 25% of the total cost of the project) among the total cost of the project can be recognized as the local cost burden (in-kind burden) as much as the evaluation value when the city /

In case of replacing with city / military site, the city / county shall refer to 2 or more appraisal corporation under the provisions of Local Finance Law, Real Estate Price Disclosure and Appraisal Law, etc., and determine the appraisal value And only if it is made public.

The appraisal request and the evaluation result disclosure shall be carried out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is project guideline.

Place

Operating ('15) Geumsan, Jecheon, ('16) Yeongju, Hongcheon, Gurye

Scheduled for operation ('17) Gochang, Yeongcheon,

반응형


Posted by 교육자의 길
정보공유2017. 3. 29. 18:27
귀농귀촌 정보를 검색해보세요!
반응형

전라북도 고창군 귀농 귀촌 정책 모음


전라북도 고창으로 귀농하실 분 참고하시면 좋을것 같아서 글을 올립니다. 

귀농 귀촌 꼭 잘 알아보시고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Posted by 교육자의 길
정보공유2017. 3. 29. 18:23
귀농귀촌 정보를 검색해보세요!
반응형

정책자금 귀농 귀촌 정착 지원금 각 시도별 정리


<경기도>

연천

1. 이사비용 지원 : 가구당 100만원

2. 주택신축비 지원 : 가구당 1,000만원(연 200만원)

3. 단독주택수리비 지원 : 가구당 100만원

4. 집들이 지원 : 가구당 30만원

5. 정착장려금 지원 : 가구당 500만원

  (귀농신고일로부터 2년 후 250만원씩)

6. 농기계임대료 지원 : 가구당 300만원(연 100만원)

포천

1. 귀농 정착지원 : 가구당  1,000만원

2. 귀농가 보행관리기 지원 : 가구당 150만원

3. 귀농귀촌 집들이 지원 : 가구당 50만원

<강원도>

원주

1. 귀농인 이사비용 지원 : 가구당 200만원

홍천

1. 귀농인 비닐하우스 지원

 ※ 단동 330㎡ 기준 : 650만원의 50%

 ※ 단동 165㎡ 기준 : 325만원의 50%

2. 주택수리비 지원 : 가구당 500만원

3. 신규영농정착지원 : 가구당 50만원

4. 주택신축설계비 지원 : 가구당 50만원

횡성

1. 농지전용허가 등 민원업무 지원

2. 경운대행 임작업

3. 상수도요금 50% 감면

영월

1. 귀농인 정착지원사업 : 가구당 600만원

2. 주택 정비 비용 지원 : 가구당 50만원

3. 전입학생 주택마련 준비금 지원

 (대학생 : 50만원/년, 고등학생 : 60만원/년)

화천

1. 귀농인 비가림하우스(330㎡) 지원 : 375만원

양양

1. 귀농귀촌인 주택수리 지원 : 가구당 450만원

2. 귀농귀촌 마을 기반조성 지원

<충청북도>

충주

1. 귀농인 이사비용 지원 : 가구당 100만원

2. 귀농인 농가주택 수리비 지원 : 가구당 200만원

제천

1. 귀농인 소형농기계지원 : 가구당 210만원

2. 영농정착기반조성사업 : 가구당 35만원

3. 농가주택수리비 지원 : 가구당 500만원

청원

1. 귀농인 소형농기계지원 : 가구당 250만원 

보은

1. 정착자금 지원 : 가구당 300~500만원 (차등지원)

2. 농기계구입자금 지원 : 가구당 500만원

3. 생활자재구입 지원 : 가구당 20만원

4. 귀농인 후견인제(멘토) : 가구당 150만원/3개월

옥천

1. 빈집 수리비 지원 : 가구당 500만원

2. 농지․주택구입세제지원 : 가구당 300만원

3. 농기계 구입 지원 : 가구당 100~150만원

증평

1. 정착장려금 지원 : 가구당 300만원

괴산

1. 빈집수리비 : 가구당 200만원

음성

1. 귀농인 빈집수리비 지원 : 가구당 500만원

단양

1․ 농가주택 수리비 지원 : 가구당 200만원

2. 비닐하우스 지원사업 : 가구당 120만원

3. 전기, 수도, 인터넷 지원 : 가구당 200만원

<충청남도>

금산

1. 초보귀농인 소규모 실습지원 : 가구당 756만원

부여

1. 귀농인 주택시설개선 : 가구당 350만원

서천

1. 빈집수리비 지원 : 가구당 400만원

청양

1. 빈집수리비 지원 : 가구당 500만원

2. 지역공동체 형성 : 가구당 50만원

3. 농업생산기반시설 지원 : 가구당 5,000천원 지원

 ※ 소형농기계 위주 지원

홍성

1. 친환경농산물 꾸러미 지원 : 가구당 500만원

2. 귀농인 집들이보상 : 가구당 20만원

3. 빈집수리비 지원 : 가구당 500만원

예산

1. 빈집수리비 지원 : 가구당 500만원

2. 귀농인 소규모농기계지원 : 가구당 100만원

태안

1. 귀농인 집들이보상 : 가구당 50만원

 <전라북도>

군산

1. 귀농귀촌 농지 임차료 지원 : 가구당 250만원

2. 귀농자 농가주택 수리비 지원 : 가구당 500만원

익산

1. 귀농인 주택수리비 지원 : 가구당 500만원

2. 귀농인 생산기반 지원 : 가구당 500만원

3 귀농・귀촌 박람회 참가 지원

정읍

1. 귀농인 이사비 지원 : 가구당 50만원

2. 귀농인 농가주택수리비 지원 : 가구당 500만원

3. 귀농인 영농정착 지원 : 가구당 200만원

4. 귀농귀촌 주민공동체 한마당 행사 지원 : 50만원

남원

1. 빈집수리비 지원 : 가구당 500만원

2. 이사비지원 : 가구당 100만원

김제

1. 농가주택수리비지원 : 가구당 500만원

2. 영농정착지원사업 : 가구당 250만원

완주

1. 귀농인 주택신축, 수리비 지원 : 가구당 500만원

2. 귀농인 농지매입 (임차)지원 : 가구당 250만원

3. 귀농․귀촌인 이사비 지원 : 가구당 50만원 

4. 귀농․귀촌인 출산 장려금 지원 : 120만원(울째이상)

5. 귀농․귀촌인 자녀학자금 지원 : 50만원~200만원

6. 귀농․귀촌인 소규모 비닐하우스 지원 : 960만원

진안

1. 체재형 가족농원 :  거주지 임대(1~2년)

2. 귀농인 농가주택 수리비 지원 : 500만원

무주

1. 귀농인 농가주택 수리비 지원 : 가구당 500만원

2. 귀농인 집들이지원 : 가구당 50만원

장수

1. 농촌주택수리비지원 : 가구당 500만원 

2. 귀농인의집 운영 : 최대6개월

임실

1. 소득사업 및 생산기반시설 지원 : 가구당 2,000만원

2. 귀농․귀촌인 주택 구입, 신축 및 수리 지원 : 가구당 500만원

순창

1. 빈집수리비 지원 : 가구당 500만원

2. 이사비 지원 : 가구당 100만원

3. 집들이비 지원 : 가구당 50만원

4. 소득사업비 지원 : 2,000만원의 50%

고창

1. 귀농인 영농정착금 지원

 ※ 가족 1인당 100만원, 최대 1,000만원 지원

2. 귀농인 농지구입자금 지원 : 가구당 5,000만원

 ※ 이율 2%, 3년거치 5년 균분상환

3. 귀농인 농가주택수리비 : 500만원

4. 귀농인 집들이 비용 지원 : 가구당 50만원

부안

1. 빈집수리비 : 가구당 500만원

2. 중소형농기계구입비 : 가구당 250만원

<전라남도>

여수

1. 귀농인 정착금 1년간 지원 : 가구당 360만원(월30만원)

2. 농가주택 수리비 지원 : 가구당 500만원

순천

1. 빈집수리비 : 가구당 500만원

2. 집들이비 : 가구당 50만원

3. 귀농인 우수 창업농 육성 : 가구당 2,000만원의 70%

4. 자녀학자금 (당해 학교의 수업료와 입학금)

나주

1. 농가주택 수리비 지원 : 가구당 500만원

2. 귀농인 정착지원 : 가구당 2,000만원의 50%

광양

1. 농가주택 수리비 지원 : 가구당 500만원

담양

1. 농가주택 수리비 지원 : 가구당 500만원

2. 시설원예임차료지원 : 가구당 150만원

곡성

1. 영농지원사업비 : 가구당 2,000만원의 50%

구례

1. 빈집 수리비 지원 : 가구당 500만원

2. 농업시설 지원 : 가구당 300만원

3. 이웃주민 초청행사 : 가구당 50만원

보성

1. 농가주택수리비 지원 : 가구당 500만원

2. 귀농 정착 장려금 1년간 (월20만~50만원) 지원

장흥

1. 귀농인 창업자금 : 2,000만원의 50% 보조

2. 농가주택 수리비 지원 : 가구당 500만원

강진

1. 빈집수리비 지원 : 가구당 500만원

2. 정착금 지원 : 가구당 4,000만원의 50%

3. 도농 의형제 맺기 운영,

4. 귀농인 농업전문지 무료 구독 지원

5. 강진의료원 의료비 50% 할인(간단한 진료)

해남

1. 농가주택 수리비 지원 : 가구당 500만원

2. 귀농인 정착지원 : 가구당 2,000만원

3. 한옥신축비 지원(연 2%, 3년거치 7년상환)

  ※ 보조 4,000만, 융자 4,000만원    

영암

1. 귀농인 주택수리비 : 가구당 500만원

2. 귀농정착금 3년간(월 20만~40만원) 지원

무안

1. 정착지원사업 : 가구당 100만원

2. 빈집수리비 지원 : 가구당 500만원

3. 집들이비지원 : 가구당 30만원

함평

1. 귀농정착 지원 : 가구당 2,000만원의 50%

2. 농가주택 수리비 지원 : 가구당 500만원

영광

1. 농가주택수리비 : 가구당 500만원

2. 귀농인 창업지원 : 가구당 2,000만원의 50%

3. 귀농인 소규모 창업농 지원사업 : 가구당 500만원

4. 농기계임대료 감면 : 농기계임대료 50%

5. 건축설계비 감면 : 건축설계비 50%(신고건축)

장성

1. 귀농인 정착자금 : 가구당 2,000만원의 50%

2. 농가주택수리비 : 가구당 500만원

3. 귀농인 집들이비용 : 가구당 30만원

완도

1. 빈집수리비 지원 : 가구당 500만원

2. 정착장려금 : 가구당 300만원

진도

1. 영농자재 지원사업 : 가구당 200백원

2. 정착자금 지원사업 : 가구당 450만원

3. 농가주택수리비 지원 : 가구당 500만원

4. 이시비용 지원사업 : 가구당 100만원

신안

1. 빈집 수리비 지원 : 가구당 500만원

2. 집들이비 지원 : 가구당 50만

3. 정착 장려금 : 가구당 300만원, 최고 600만원

<경상북도>

포 항

1. 귀농인 정착금 지원 : 가구당  500만원  

경주

1. 귀농인 영농정착지원 : 가구당 400만원

안동

1. 귀농인 정착지원 : 가구당 400만원

구미

1. 귀농인 정착지원 : 가구당 400만원

2. 가구당 10백~50백만원 범위내 대출

※ 시설자금:연리1%, 3년거치 7년 균분상환

※ 운영자금:연리1%, 2년거치 3년 균분상환

영주

1. 귀농인 학자금 지원 : 가구당 100만원

2. 귀농인 주택수리비 :  가구당 300만원

3. 귀농인 정착지원 : 가구당 500만원

영천

1. 귀농인 영농정착 : 가구당  400만원

2. 세제지원 : 가구당 200만원

3. 이사비용 : 가구당 100만원

4. 귀농정착장려금 지원 : 가구당 480만원

상주

1. 정착지원 : 가구당 5백만원

2. 귀농인 주택수리비 : 가구당 500만원

3. 귀농귀촌인 주민초청행사 : 가구당 40만원

4. 소규모전원마을 입주민초청행사 : 100만원

5. 농기계 대여료 및 귀농귀촌인 설계비 50% 감면  

6. 인구증가 시책 지원 : 1인×20만원

문경

1. 귀농인 마을주민 초청행사 : 가구당 50만원

2. 귀농인 주택수리비 및 귀농인 소득지원 사업 : 가구당 각 400만원

3. 귀농인 자녀 대학교 학자금 : 100만원

4. 귀농인의 집 임대료 지원 : 가구당 150만원

5. 빈집 수리비 : 가구당 500만원

군위

 

1. 귀농인 귀농정착지원 : 가구당  400만원

2. 농가주택 수리비 : 가구당 300만원

3. 농지구입 세금지원 : 가구당 200만원

의성

1. 빈집수리비 지원 : 가구당 500만원

2. 귀농정착지원 : 가구당 400만원

3. 이사비용 지원 : 가구당 20 ~ 60만원

4. 집들이비용 지원 : 가구당 30만원 지원

청송

1. 귀농인 영농정착금지원 : 가구당  최대 500백만원

2. 농지구입 세제지원(취득세, 등록세, 농특세, 교육세)

3. 농지구입 이자 지원 : 가구당 150만원

4. 주택수리비 지원 : 가구당 300백만원

5. 귀농학교 수강료 지원 :  300천원이내

영양

1. 귀농정착 지원 : 가구당 400만원 

2. 귀농농가 지원 : 가구당 400만원

3. 주택수리비 지원 : 가구당 400만원

영덕

1.  귀농 정착금 지원 : 가구당 500만원

청도

1. 정착장려금 지원 : 가구당 200만원 한도

 (부부귀농100만원, 자녀포함 3인이상 귀농200만원)

2. 귀농정착지원 : 가구당 4백만원 한도

고령

1. 귀농인 영농정착 지원 : 가구당 500만원의 80%  

2. 귀농인 주택 수리비 지원 : 가구당 300만원

3. 농지구입 세금지원 : 가구당 100만원

성주

1. 귀농 정착 자금지원 : 가구당 700만원

 ※ 농기자재, 영농시설 개보소, 확충

2. 농가주택 수리비 지원 : 가구당 350만원

칠곡

1. 귀농 정착지원 사업 : 가구당 500만원

2. 귀농인 농어촌진흥 기금 지원 : 3,000만원 한도

 

예천

1. 이사비용 지원 : 가구당  100만원 

2. 농가주택 수리비 지원 : 가구당 400만원

3. 귀농인 정착지원 : 가구당 400만원

4. 귀농인 영농기반 지원 :가구당 400만원

봉화

1. 귀농인 이사비용지원 : 가구당 100만원

2. 귀농인 빈집수리비지원 : 가구당 300만원

3. 귀농인 정착장려금 지급 : 가구당 480만원

4. 귀농정착지원사업 지원 : 가구당 400만원

울진

1. 귀농인 영농 지원사업 : 가구당 400만원

2. 귀농인 주택수리비 지원 : 가구당 400만원

3. 귀농인 아이디어 공모 : 가구당 1,600만원

4. 귀농인 일자리창출 지원 : 6만원/일(30일 이내)

5. 귀농인 주택설계비 지원 : 가구당 100만원

6. 귀농인 이주비용 지원 : 가구당 100만원

7. 도시민 농촌거주 체험 지원 : 가구당 100만원

8. 귀농귀촌인 주민화합 지원 : 읍면당 100만원

울릉

1. 농업인자녀 학자금 지원

  ※ 당해 고등학교 수업료, 입학금 전액

<경상남도>

창녕

1. 영농 정착금 지원 : 500만원

 ※ 2008.07~2010.12 전입자는 100만원 지급

2. 귀농인 종자 및 영농자재 지원 : 30만원

3. 귀농인 집들이비용 지원 : 가구당 8만원

4. 빈집 수리비 지원 : 매입 최고 700만원, 임차 최고 350만원

5. 건축 설계비 : 가구당 건축설계비 최고 100만원 

6. 전입 정착금 지원 : 가구당 30만원

7. 자동차번호판 변경비용 전액 지원

8. 주민세 지원 : 교육세 포함 2년간 전액

9. 쓰레기 종량제 봉투 지원 :  종량제 쓰레기봉투 30ℓ 30매

산청

1. 귀농인정착지원 : 가구당 4백만원

2. 농가주택수리비 지원 : 가구당 3백만원

함양

1. 귀농정착지원 : 가구당 375만원 

2. 귀농정착지원 : 가구당 500만원

3. 농촌빈집수선 지원 : 가구당 300만원

4. 빈집(주택)수리비 지원 :  가구당 300만원

5. 집들이비 지원 : 가구당 50만원

6. 전입가구 정착금 지원

  ※ 2인 : 10만원, 3인 : 20만원, 4인이상 : 30만원

합천

1. 영농정착 지원: 가구당 700만원

2. 주택수리비 지원: 가구당 500만원

3. 자녀 학자금 지원

 ※중고등학생 : 10만원/분기, 대학생 : 50만원/분기

<제주특별자치도 및 광역시>

특별자치도

1․ 농가주택수리비 지원 : 가구당 400만원

2․ 농업인자녀학자금지원 : 고등학생 120만원/년

3․ 농가출산도우미지원 : 187만2천원

제주

1․ 창업실습비 지원 : 가구당 월80만원(5개월간)

2․ 귀농인 사랑방지정 운영

옹진

1. 정착장려금 지원 

  ※ 2~3인 : 200만원, 4인이상 : 300만원

2. 영농기반조성 지원 : 500만원

  (농가주택 수리비, 농지 임차비)

3. 사업지원(농업,축산 등) : 1,000만원

  (농자재, 농기구, 시설하우스, 축사시설)

4. 농기계 구입비 지원 : 500만원


Policy Funds Settlement of Earhouses


<Gyeonggi Province>

Yeoncheon

1. Moving cost support: 1 million won per household

2. Housing Expenditure Support: 10 million won per household (2 million won per year)

3. Support for single house repair: 1 million won per household

4. Support for Houses: 300,000 won per household

5. Settlement subsidy: 5 million won per household

  (2.5 million won after two years from the date of reporting the earliest)

6. Agricultural equipment rent support: 3 million won per household (1 million won per year)

Fortune

1. Support for settlement of earrings: 10 million won per household

2. Support for pedestrian management of ear farmer: 1.5 million won per household

3. Support for the families of Gwangchon-eugong: 500,000 won per household

<Gangwon-do>

Won-ju

1. Supporting migration expenses: 2 million won per household

Hongcheon

1. Support for the red house vinyl house

 ※ Dandong 330㎡ Standard: 50%

 ※ Dandong 165㎡ standard: 325 million won 50%

2. Housing repair expenses: 5 million won per household

3. Support for new farming settlement: 500,000 won per household

4. Support for new construction cost: 500,000 won per household

Thrust

1. Permission for private farm land, etc.

2. Operation of tillage agency

3. Water rate 50% exemption

Yeongwol

1. Retirement settlement support project: 6 million won per household

2. Housing cost support: 500,000 won per household

3. Reserves for transfer students

 (College students: 500,000 won / year, high school students: 600,000 won / year)

Hwacheon

1. Support for irrigated irrigated house (330㎡): 3.75 million won

Yangyang

1. Support for repair of the house of the ear village: 4,500,000 won per household

2. Support for the foundation of Guinchon village

<Chungcheongbuk-do>

Chungju

1. Support for migration of migrant workers: 1 million won per household

2. Support for repair of farmhouses of farm households: 2 million won per household

Jecheon

1. Support for small-scale agricultural machinery: 2 million won per household

2. Establishment of farming settlement base: 350,000 won per household

3. Support for farmhouse housing repair expenses: 5 million won per household

petition

1. Support for small-scale agricultural machinery of ear farmer: 2.5 million won per household

Bo

1. Settlement fund: 300 ~ 5 million won per household (differential support)

2. Funds for purchase of agricultural machinery: 5 million won per household

3. Purchase of living materials: 200,000 won per household

4. A guardian (Mentor) for earing income: 1,500,000 won per household / 3 months

Okchon

1. Support for repairs for empty house: 5 million won per household

2. Support for farmland and housing purchase tax: 3 million won per household

3. Purchase of agricultural machinery: 100 ~ 1.5 million won per household

Revelation

1. Settlement subsidy: 3 million won per household

Goesan

1. Empty house repair cost: 2 million won per household

voice

1. Support for repatriation of empties: 500,000 won per household

Danyang

One. Support for farm house repair: 2 million won per household

2. Support for vinyl house: 1.2 million won per household

3. Electricity, water, internet support: 2 million won per household

<Chungcheongnam-do>

Jinshan

1. Small-scale practice support for beginner farmers: 75.6 million won per household

grant

1. Improvement of housing facilities for earners: 3.5 million won per household

Seocheon

1. Support for repairs of empty house: 4 million won per household

Cheongyang

1. Support for repairs for empty house: 5 million won per household

2. Formation of local community: 500,000 won per household

3. Support for agricultural production infrastructure: 5,000,000 won per household

 ※ Support for small agricultural machinery base

Hong Sung

1. Eco-friendly farm products package: 5 million won per household

2. Rewards for homeowners: 200,000 won per household

3. Support for repairs for empty house: 5 million won per household

budget

1. Support for repairs for empty house: 5 million won per household

2. Support for farmers who are small farmers: 1 million won per household

Taean

1. Reimbursement for homeowners: 500,000 won per household

 <Jeollabuk-do>

Gunsan

1. Support for rent of agricultural land in Guizhou Village: 2.5 million won per household

2. Support for farmers' house repair expenses: 500,000 won per household

Iksan

1. Support for homeowner's house repair expenses: 5 million won per household

2. Support base for earn farmers: 5 million won per household

3 Support for participation in eugenics /

Jeong-eup

1. Support for earned income: 500,000 won per household

2. Support for repair of farmhouses of farm households: 5 million won per household

3. Support for resettlement of farmer's income: 2 million won per household

4. Support for the event for the community of Guan Yin Village: 500,000 won

Nam Won

1. Support for repairs for empty house: 5 million won per household

2. Support for moving expenses: 1 million won per household

Gimje

1. Support for farm house repair costs: 5 million won per household

2. Farming settlement support project: 2.5 million won per household

Completion

1. Support for new housing and repair expenses: 5 million won per household

2. Buying (renting) agricultural land in earnest: 2.5 million won per household

3. Support for earn-in-the-money,

4. Support for the retirement income of the farmers and the villagers: 1.2 million won

5. Support for school expenses for children in earnest and old age: 500,000 ~ 2,000,000 won

6. Small green house support for earn farms and villages: 9.6 million won

Jinan

1. Staying family farms: Residential rent (1-2 years)

2. Support for repair of farmhouses of farm households: 5 million won

Muju

1. Support for repair of farmhouses of farm households: 500,000 won per household

2. Support for homeowners: 500,000 won per household

Long live

1. Rural housing repair expenses: 5 million won per household

2. Operation of the house of the farmer: up to 6 months

Imams

1. Income business and production infrastructure support: 20 million won per household

2. Purchase, construction, and repair of housing in earhouses and villages: 5 million won per household

Sunchang

1. Support for repairs for empty house: 5 million won per household

2. Support for moving expenses: 1 million won per household

3. Houses do not support: 500,000 won per household

4. Income support expenses: 50% of 20 million won

depot

1. Support for retirement income

 ※ 1 million won per family, up to 10 million won

2. Support for the purchase of agricultural land for farmers: 50 million won per household

 ※ 2% interest rate, 5 year equilibrium repayment for 3 years

3. Farmhouse repair cost of farmhouse: 5 million won

4. Expense support for homeowners: 500,000 won per household

Buan

1. Empty house repair cost: 5 million won per household

2. Purchase of small and medium sized farm machinery: 2.5 million won per household

<Jeollanamdo>

Yeo su

1. Support for one year of retirement settlement: 360,000 won per household (300,000 won per month)

2. Support for repair of farmhouse housing: 5 million won per household

Suncheon

1. Empty house repair cost: 5 million won per household

2. Housekeeping fee: 500,000 won per household

3. Fostering excellent businessmen who are active in earning: 70% of 20 million won per household

4. Children's tuition (tuition and entrance fee)

Naju

1. Support for farm house repair costs: 5 million won per household

2. Support for resettlement of farmers: 50%

Gwangyang

1. Support for farm house repair costs: 5 million won per household

Damyang

1. Support for farm house repair costs: 5 million won per household

2. Facilities Horticulture rent: 1.5 million won per household

Curvature

1. Fertilizer application expenses: 50% of KRW 20 million per household

Pursuit

1. Support for repairs for empty house: 5 million won per household

2. Agricultural Facility Support: 3 million won per household

3. Invitation of neighbors: 500,000 won per household

Boseong

1. Support for farm house repair costs: 5 million won per household

2. Support for earn settlement subsidy for one year (200,000 ~ 500,000 won per month)

Jangheung

1. Earn-outs Founding Fund: 50% Assistance of 20 million won

2. Support for repair of farmhouse housing: 5 million won per household

Earthquake

1. Support for repairs for empty house: 5 million won per household

2. Settlement support: 50% of 40 million won per household

3. Establishment of farming system,

4. Support free subscription to agriculture agricultural magazines

5. Kangjin Medical Center 50% discount (simple treatment)

Haenam

1. Support for farm house repair costs: 5 million won per household

2. Support for resettlement of farmers: 20 million won per household

3. Support for Hanok Stretching Expenditures (2% per annum, 7 years for 3 years)

  ※ Subsidy 40 million, financing 40 million won

Yeongam

1. Household repair cost of earned income: 5 million won per household

2. Support for three years (200,000 ~ 400,000 won) per month

Muan

1. Settlement support business: 1 million won per household

2. Support for repairs for empty house: 5 million won per household

3. Houses not supported: 300,000 won per household

Hampyeong

1. Support for settlement of earrings: 50%

2. Support for repair of farmhouse housing: 5 million won per household

glory

1. Farmhouse repair cost: 5 million won per household

2. Support for start-up of the farmers: 50%

3. Small-scale business incubation project for farmers: 5 million won per household

4. Reduction of rent for agricultural machinery: 50%

5. Reduction of building design cost: 50% of building design cost (declaration construction)

Wall

1. Settlement funds for the farmers: 50% of the 20 million won per household

2. Farm house repair cost: 5 million won per household

3. Household expenses for the farmers: 300,000 won per household

Wando

1. Support for repairs for empty house: 5 million won per household

2. Settlement subsidy: 3 million won per household

magnitude

1. Farming materials support project: 20000 won per household

2. Settlement fund support business: 4.5 million won per household

3. Support for farmhouse housing repair expenses: 5 million won per household

4. Expense support project: 1 million won per household

new idea

1. Support for repairs for empty house: 5 million won per household

2. Houses not supported: 500,000 per household

3. Settlement subsidy: 3 million won per household, maximum 6 million won

<Gyeongsangbuk-do>

Pohang

1. Support for retirement income: 5 million won per household

Gyeongju

1. Support for resettlement of farmer's farms: 4 million won per household

Andong

1. Support for resettlement of farmers: 4 million won per household

Gumi

1. Support for resettlement of farmers: 4 million won per household

2. Loans in the range of 100 ~ 50 million won per household

※ Facility fund: 1% per annum, 7 years equilibrium payment for 3 years

※ Operating funds: 1% per annum, 3 years equal to 2 years

Permanent residence

1. Earn student financial support: 1 million won per household

2. Household repair costs of earned income: 3 million won per household

3. Support for resettlement of farmers: 5 million won per household

Yeongcheon

1. Settlement of earned farmers: 4 million won per household

2. Tax support: 2 million won per household

3. Moving cost: 1 million won per household

4. Support for earn settlement subsidy: 4.8 million won per household

Resident

1. Settlement support: 5 million won per household

2. Household repair cost: 5 million won per household

3. Invitation of residents of the Guinness Village: 400,000 won per household

4. Invitation to residents of small-scale rural villages: 1 million won

5.The farm equipment rental fee and the design cost of the farming village of the farmers are reduced by 50%

6. Population increase policy support: 1 person × 200,000 won

Mungyeong

1. Invitation to the villagers of the village of Guiin: 500,000 won per household

2. Support for home renovations and earn income support: 4 million won per household

3. Earn-in-kind children's college tuition: 1 million won

4. Rent of the house of the farmer: 1.5 million won per household

5. Empty house repair cost: 5 million won per household

Gunyu

 

1. Assistance for resettlement of ear buds: 4 million won per household

2. Farm House Repair Cost: 3 million won per household

3. Farmland purchase tax support: 2 million won per household

onomatopoeia

1. Support for repairs for empty house: 5 million won per household

2. Support for settlement of eugenics: 4 million won per household

3. Moving cost support: Household


ポリシー資金帰農帰村定着支援金各市道別まとめ


<京畿道>

漣川(ヨンチョン)

1.引越し費用サポート:世帯当たり100万ウォン

2.住宅シンチュクビサポート:世帯当たり1,000万ウォン(年間200万ウォン)

3.一戸建て住宅の修理費をサポート:世帯当たり100万ウォン

4.新築サポート:世帯当たり30万ウォン

5.定着奨励金支援: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帰農申告日から2年後に250万ウォンずつ)

6.農業機械のレンタルサポート:世帯当たり300万ウォン(年100万円)

フォーチュン

1.帰農定着支援:世帯当たり1,000万ウォン

2.グィノンガ歩行管理機サポート:世帯当たり150万ウォン

3.帰農帰村家がサポート:世帯当たり50万ウォン

<江原道>

円周

1.帰農の引越し費用サポート:世帯当たり200万ウォン

洪川

1.帰農のビニールハウスサポート

 ※単動330㎡基準:650万ウォンの50%

 ※単動165㎡基準:325万ウォンの50%

2.住宅修理費支援: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3.新規営農定着支援:世帯当たり50万ウォン

4.住宅新築設計費支援:世帯当たり50万ウォン

横城

1.農地転用許可など嘆願業務支援

2.耕代行である作業

3.水道料金50%減免

寧越

1.帰農の定着支援事業:世帯当たり600万ウォン

2.住宅整備費用支援:世帯当たり50万ウォン

3.転入学生住宅設け引当金支援

 (大学生:50万ウォン/年、高校生:60万ウォン/年)

華川

1.帰農の雨よけハウス(330㎡)のサポート:375万ウォン

襄陽

1.帰農帰村な住宅の修理サポート:世帯当たり450万ウォン

2.帰農帰村村基盤造成サポート

<忠清北道>

忠州

1.帰農の引越し費用サポート:世帯当たり100万ウォン

2.帰農の農家住宅の修理費をサポート:世帯当たり200万ウォン

堤川

1.帰農の小型農業機械のサポート:世帯当たり210万ウォン

2.営農定着基盤造成事業:世帯当たり35万ウォン

3.農家住宅の修理費をサポート: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請願

1.帰農の小型農業機械のサポート:世帯当たり250万ウォン

恩返し

1.定着資金支援:世帯当たり300〜500万ウォン(差分サポート)

2.農業機械購入資金サポート: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3.生活資材購入サポート:世帯当たり20万ウォン

4.帰農の保護者の第(メンター):世帯当たり150万ウォン/ 3ヶ月

沃川

1.空き家修理サポート: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2.農地住宅購入税制支援:世帯当たり300万ウォン

3.農業機械の購入サポート:世帯当たり100〜150万ウォン

曽坪

1.定着奨励金支援:世帯当たり300万ウォン

槐山

1.空き家修理費:世帯当たり200万ウォン

音声

1.帰農の空き家修理サポート: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丹陽

1。農家住宅修理費支援:世帯当たり200万ウォン

2.ビニールハウス支援事業:世帯当たり120万ウォン

3.電気、水道、インターネットのサポート:世帯当たり200万ウォン

<忠清南道>

金山

1.初心者帰農小規模実習サポート:世帯当たり756万ウォン

付与

1.帰農な住宅設備の改善:世帯当たり350万ウォン

舒川

1.空き家修理サポート:世帯当たり400万ウォン

城陽

1.空き家修理サポート: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2.地域共同体の形成:世帯当たり50万ウォン

3.農業生産基盤施設支援:世帯当たり5,000ウォンサポート

 ※小型農業機械を中心サポート

洪城

1.環境にやさしい農産物パッケージサポート: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2.帰農の家々補償:世帯当たり20万ウォン

3.空き家修理サポート: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予算

1.空き家修理サポート: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2.帰農小規模農業機械サポート:世帯当たり100万ウォン

泰安

1.帰農の家々補償:世帯当たり50万ウォン

 <全羅北道>

群山

1.帰農帰村農地賃借料のサポート:世帯当たり250万ウォン

2.帰農者農家住宅の修理費をサポート: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益山

1.帰農な住宅修理費支援: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2.帰農な生産基盤のサポート: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3帰農・帰村博覧会参加支援

井邑

1.帰農のイサビサポート:世帯当たり50万ウォン

2.帰農の農家住宅の修理費をサポート: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3.帰農な営農定着支援:世帯当たり200万ウォン

4.帰農帰村住民のコミュニティフェスティバルイベントのサポート:50万ウォン

南原

1.空き家修理サポート: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2.イサビサポート:世帯当たり100万ウォン

金堤

1.農家住宅の修理費をサポート: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2.営農定着支援事業:世帯当たり250万ウォン

完走

1.帰農な住宅新築、修理費支援: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2.帰農の農地買い付け(賃借)サポート:世帯当たり250万ウォン

3.帰農。帰村のイサビサポート:世帯当たり50万ウォン

4帰農。帰村の出産奨励金支援:120万円(ウルチェ以上)

5.帰農。帰村の子供学資サポート:50万ウォン〜200万ウォン

6.帰農。帰村小規模ビニールハウスのサポート:960万ウォン

鎮安

1.滞在型ファミリー農園:住まい賃貸(1〜2年)

2.帰農の農家住宅の修理費のサポート:500万ウォン

茂朱

1.帰農の農家住宅の修理費をサポート: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2.帰農の家々サポート:世帯当たり50万ウォン

長寿

1.農村住宅の修理費をサポート: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2.帰農人家運営:最大6ヶ月

任実

1.収入ビジネスと生産基盤施設支援:世帯当たり2,000万ウォン

2.帰農。帰村な住宅を購入、新築や修理のサポート: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淳昌

1.空き家修理サポート: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2.イサビサポート:世帯当たり100万ウォン

3.新築非サポート:世帯当たり50万ウォン

4.所得事業費支援:2,000万ウォンの50%

高敞

1.帰農な営農定着金支援

 ※家族1人当たり100万ウォン、最大1,000万ウォンをサポート

2.帰農の農地購入資金サポート:世帯当たり5,000万ウォン

 ※利率2%、3年据え置き5年均分返済

3.帰農の農家住宅の修理費:500万ウォン

4.帰農の新築費用支援:世帯当たり50万ウォン

扶安

1.空き家修理費: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2.中小型農業機械購入費:世帯当たり250万ウォン

<全羅南道>

麗水

1.帰農の定着金1年間のサポート:世帯当たり360万ウォン(月30万ウォン)

2.農家住宅の修理費をサポート: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順天

1.空き家修理費: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2.新築非:世帯当たり50万ウォン

3.帰農の優れチャンオプノン育成:世帯当たり2,000万ウォンの70%

4.子供学資(当該学校の授業料と入学金)

1.農家住宅の修理費をサポート: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2.帰農の定着支援:世帯当たり2,000万ウォンの50%

光陽

1.農家住宅の修理費をサポート: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潭陽

1.農家住宅の修理費をサポート: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2.施設園芸賃借料サポート:世帯当たり150万ウォン

谷城

1.営農支援事業費:世帯当たり2,000万ウォンの50%

求礼

1.空き家修理サポート: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2.農業施設のサポート:世帯当たり300万ウォン

3.近隣住民招待イベント:世帯当たり50万ウォン

宝城

1.農家住宅の修理費をサポート: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2.帰農定着奨励金1年間(月20万〜50万ウォン)をサポート

長興

1.帰農の創業資金:2,000万ウォンの50%補助

2.農家住宅の修理費をサポート: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地震

1.空き家修理サポート: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2.定着金支援:世帯当たり4,000万ウォンの50%

3.都市と農村の義兄弟結ぶ運営、

4.帰農農業専門誌無料購読サポート

5.地震医療院医療費の50%割引(簡単な診療)

海南

1.農家住宅の修理費をサポート: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2.帰農の定着支援:世帯当たり2,000万ウォン

3.韓屋シンチュクビサポート(年2%、3年据え置き7年返済)

  ※補助4,000万、融資4,000万

霊岩

1.帰農な住宅修理費: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2.帰農定着金の3年間(月20万〜40万ウォン)をサポート

務安

1.定着支援事業:世帯当たり100万ウォン

2.空き家修理サポート: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3.新築非対応:世帯当たり30万ウォン

咸平

1.帰農定着支援:世帯当たり2,000万ウォンの50%

2.農家住宅の修理費をサポート: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栄光

1.農家住宅の修理費: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2.帰農の創業支援:世帯当たり2,000万ウォンの50%

3.帰農小規模チャンオプノン支援事業: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4.農業機械賃貸料の減免:農業機械の家賃50%

5.建築設計費減免:建築設計費50%(申告建築)

1.帰農の定着資金:世帯当たり2,000万ウォンの50%

2.農家住宅の修理費: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3.帰農の新築費用:世帯当たり30万ウォン

ワンド

1.空き家修理サポート: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2.定着奨励金:世帯当たり300万ウォン

進歩

1.営農資材支援事業:世帯当たり200ウォン

2.定着資金支援事業:世帯当たり450万ウォン

3.農家住宅の修理費をサポート: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4.石川コスト支援事業:世帯当たり100万ウォン

新案

1.空き家修理サポート: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2.新築非サポート:世帯当たり50万

3.定着奨励金:世帯当たり300万ウォン、最高600万ウォン

<慶尚北道>

フォー項

1.帰農の定着金支援: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レース

1.帰農な営農定着支援:世帯当たり400万ウォン

安東

1.帰農の定着支援:世帯当たり400万ウォン

欧米

1.帰農の定着支援:世帯当たり400万ウォン

2.世帯当たり10百〜50万ウォンの範囲内のローン

※施設の資金:年利1%、3年据え置き7年均分返済

※運営資金:年利1%、2年据え置き3年均分償還

永住

1.帰農の学資援助:世帯当たり100万ウォン

2.帰農な住宅修理費:世帯当たり300万ウォン

3.帰農の定着支援: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永川

1.帰農の営農定着:世帯当たり400万ウォン

2.税制支援:世帯当たり200万ウォン

3.引越し費用:世帯当たり100万ウォン

4.帰農定着奨励金支援:世帯当たり480万ウォン

常駐

1.定着支援: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2.帰農な住宅修理費: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3.帰農帰村の住民招待イベント:世帯当たり40万ウォン

4.小規模電源村入居者招待イベント:100万円

5.農業機械のレンタル料と帰農帰村の設計費50%削減

6.人口増加施策サポート:1人×20万ウォン

聞慶

1.帰農の村の住民招待イベント:世帯当たり50万ウォン

2.帰農な住宅修理費と帰農の所得支援事業:世帯当たり各400万ウォン

3.帰農の子ども大学の学生:100万円

4.帰農者の家の使用料のサポート:世帯当たり150万ウォン

5.空き家修理費: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軍威

 

1.帰農の帰農定着支援:世帯当たり400万ウォン

2.農家住宅の修理費:世帯当たり300万ウォン

3.農地購入税のサポート:世帯当たり200万ウォン

1.空き家修理サポート:世帯当たり500万ウォン

2.帰農定着支援:世帯当たり400万ウォン

3.引越し費用のサポート:世帯当たり




반응형


Posted by 교육자의 길
정보공유2017. 3. 27. 22:31
귀농귀촌 정보를 검색해보세요!
반응형

농업정책자금 - 농협대출 비가림 시설

대상자 농협선정자금

  • 농업종합자금(시설자금)
    • ㆍ대출대상자 : 농업인, 농업법인
    • ㆍ대출금액 : 총 사업비의 80% 이내
    • ㆍ대출금리 : 고정 2.0% 또는 6개월 변동금리 중 선택
    • ㆍ대출기간 : 13년 (3년거치 10년원리금상환)
    • ㆍ대출사무소 : 농협은행, 농축협
    • ※ 대출 지원 제외자
    • ㆍ대출 지원 제외자는 농업자금안내→농업정책자금→종합자금에서 확인

대상자행정기관 선정자금

  • 시설원예품질개선사업(FTA)
    • 시설원예품질개선사업(FTA)

    • ㆍ대출대상자 : 농업경영 정보를 등록한 고추 재배 경영체로써 사업주관기관에서 <고추비가림 재배시설> 사업대상자로 선정된 
       농업경영체
    • ㆍ지원용도 : - 고추비가림 재배시설
    • -『원예특작시설 내재해형 규격 설계도·시방서』의 내재해형 비닐하우스로써 지역별 설계기준에 적합한 시설 
       (관수시설 및 자동개폐기 포함 <보온·난방 시설은 제외>)
    • ㆍ대출한도 : 사업주관기관으로부터 통보받은 금액 이내
    • ㆍ대출금리 : 고정 2.0% 또는 6개월 변동금리 중 선택
    • ㆍ대출기간 : 10년 ( 3년거치 7년원금균등상환)
    • ㆍ대출사무소 : 농협은행, 농축협
    • ※ 대출 지원 제외자
    • ㆍ토지구입 및 부지조성 비용, 시설장비 임차료, 전기인입시 기본거리(200m) 초과분
    • ㆍ단동형 및 이동형 온실 현대화 원칙적으로 제외
    • ㆍ전기·유류·가스 냉난방기, 농기계, 저온유통 차량, 소모성 자재 등 사업목적에 부합되지 않는 시설 및 장비 등
    • ㆍ예냉·저장·선별시설, 골조, 피복필름 등
    • ㆍ‘농업에너지이용효율화사업’등 유사사업 지원 대상 품목




  • 農業政策資金 - 農協ローン雨よけ施設
  • 対象者農協選定資金
  • 農業総合資金(設備資金)
  • ㆍローン対象者:農業、農業法人
  • 及び融資額:総事業費の80%以内
  • 及び貸出金利:固定2.0%または6ヶ月の変動金利の選択
  • 及び貸出期間:13年(3年据え置き10年元利金償還)
  • ㆍローン事務所:農協銀行、ノンチュクヒョプ
  • ※ローンサポートジェウェジャ
  • 及びローンサポートを除く者、農業資金案内→農業政策資金→総合資金で確認
  • 対象者行政機関選定資金
  • 施設園芸品質改善事業(FTA)
  • 施設園芸品質改善事業(FTA)

  • ㆍローン対象者:農業経営情報を登録した唐辛子の栽培経営体としての事業主管機関で<唐辛子雨よけ栽培施設>事業対象者に選定された
  •  農業経営体
  • ・支援用途: - 唐辛子雨リム栽培施設
  • - 「ガーデニング特作施設内の災害型規格設計・仕様書」の内の災害型ビニールハウスとして地域の設計基準に適合施設
  •  (散水設備と自動開閉装置を含む<保温・暖房を除く>)
  • ㆍローン限度:事業主管機関から通報を受けた金額以内
  • 及び貸出金利:固定2.0%または6ヶ月の変動金利の選択
  • 及び貸出期間:10年(3年据え置き7年元金均等返済)
  • ㆍローン事務所:農協銀行、ノンチュクヒョプ
  • ※ローンサポートジェウェジャ
  • 及び土地の購入と敷地造成費、施設設備の賃借料、電気的な入試基本距離(200m)超過分
  • 及び単動形と持ち運びに便利な温室近代化、原則として除く
  • 及び電気・石油・ガス冷暖房機、農業機械、低温流通車両、消耗性資材などの事業目的に合致しない施設や設備など
  • 及び予冷・貯蔵・選別設備、フレーミング、被覆フィルムなど
  • 及び「農業、エネルギー利用の効率化事業」など類似の事業支援対象品目

  • Agricultural Policy Fund - Nonghyup Loan Non-Rim Facilities
  • Targeted Nonghyup selected funds
  • Agricultural total fund (facility fund)
  • ㆍ Loan target: farmer, agricultural corporation
  • ㆍ Loan amount: Within 80% of total project cost
  • ㆍ Loan rate: Fixed 2.0% or 6-month floating interest rate
  • ㆍ Loan period: 13 years (repayment of principal and interest for 10 years)
  • ㆍ Loan Office: Nonghyup Bank, Agricultural Cooperative
  • ※ Loan support excluded
  • ㆍ Loan support exemption is confirmed from Agricultural Funds → Agricultural Policy Fund → Total Funds
  • Targeted Administrative Agency Selection Fund
  • Facilities Horticultural Quality Improvement Project (FTA)
  • Facilities Horticultural Quality Improvement Project (FTA)

  • ㆍ Loan target: Red pepper cultivation management entity that registered agriculture management information, and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Red pepper Rain Forest Growing Facility>
  •  Agricultural management body
  • ㆍ Application: - Red pepper rain forest cultivation facility
  • - Disaster type vinyl house of "disaster type standard design specification specification specification in special gardening facility", facility suitable for local design standard
  •  (Including irrigation facilities and automatic switch <excluding heating and heating facilities)
  • ㆍ Loan limit: within the amount notified from the business organizing authority
  • ㆍ Loan rate: Fixed 2.0% or 6-month floating interest rate
  • ㆍ Borrowing period: 10 years (3-year grace period 7 years repayment of principal)
  • ㆍ Loan Office: Nonghyup Bank, Agricultural Cooperative
  • ※ Loan support excluded
  • ㆍ Expenses for land purchase and site creation, equipment rental, exceeding basic distance (200m) for electricity entrance
  • ㆍ Modernization of single-acting type and mobile type greenhouse is excluded in principle
  • ㆍ Facilities and equipments that do not meet business purposes such as electricity, oil, gas, air conditioning, agricultural machinery, low-temperature distribution vehicles, consumable materials, etc.
  • ㆍ Precooling, storage, screening facilities, framing, coating film, etc.
  • ㆍ Items to be supported for similar projects such as 'Agricultural Energy Utilization Project'


반응형


Posted by 교육자의 길
정보공유2017. 3. 27. 18:26
귀농귀촌 정보를 검색해보세요!
반응형

농업 정책자금 지원 - 농협대출 축산분뇨 처리자금


자금소개

  • 지원목적
    • - 축산분뇨의 적정처리로 자연 및 생활환경 보전과 수질오염 방지
    • - 축산분뇨를 유기질비료로 자원화하여 친환경농업 장려
  • 대출조건
    구 분개별ㆍ공동자원화 시설
    금리2% (조사료생산기반확충, 가축분뇨처리시설지원, 축사시설현대화, 축산경영종합자금) 
    1.8% (농가사료직거래활성화, 긴급경영안정자금) 
    4% (민간기업)
    기간3년 거치 7년균분상환
  • 대출사무소 : 농협은행 시.군지부(지점), 지역 농.축협

대출 대상자

  • 개별시설 : 축산농가, 축산단지, 축산계열화사업체, 영농조합법인, 농업회사법인, 지역 농ㆍ축협
  • 공동자원화시설 : 영농조합법인, 농업회사법인, 농ㆍ축협, 민간법인(상법상법인)

대출절차

  • 사업신청
    • - 개별시설(농가) : 시군, 구
    • - 개별시설(법인체 등) : 시, 도
    • - 공동자원화시설 : 농림축산식품부
  • 지원대상자 선정
    • - 시장, 군수 등은 사업신청서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우선순위를 정하여 대상자 선정.

  • 資金導入
  • サポート目的
  • - 畜産糞尿の適正処理に自然と生活環境の保全と水質汚染防止
  • - 畜産糞尿を有機質肥料として資源化して環境にやさしい農業を奨励
  • 融資条件
  • 区分個別及び共同資源化施設
  • 金利2%(粗飼料生産基盤の拡充、家畜糞尿処理施設支援、畜舎施設の近代化、畜産経営の総合資金)
  • 1.8%(農家飼料直取引の活性化、緊急経営安定資金)
  • 4%(民間企業)
  • 期間3年据え置き7年均分返済
  • ローン事務所:農協銀行市・郡支部(支店)、地元の農畜産協同組合
  • ローン対象者
  • 個別施設:畜産農家、畜産団地、畜産系列企業、営農組合法人、農業会社法人、地域農及び畜産協同組合
  • 共同資源化施設:営農組合法人、農業会社法人、農及び畜産協同組合、民間法人(商法商法の)
  • ローンの手続き
  • 事業の申請
  • - 個々の施設(農家):郡、区
  • - 個々の施設(法人等):時、図
  • - 共同資源化施設:農林畜産食品部
  • 支援対象者選定
  • - 市場、軍需などは事業申請書を総合的に検討して、優先順位を定めて対象者の選定

  • Introduction of funds
  • Purpose of Support
  • - Preservation of natural and living environment and prevention of water pollution by appropriate treatment of livestock manure
  • - Promote eco-friendly agriculture by converting livestock manure into organic fertilizer
  • Loan condition
  • Classification Individual and co-resources facility
  • Interest rate 2% (expansion of production base for forage, support for livestock manure treatment facility, modernization of housing facility, comprehensive management of livestock management)
  • 1.8% (Activation of direct farm feed, emergency fund for stable management)
  • 4% (private enterprise)
  • Duration 3 year installment 7 year balance payment
  • Loan Office: Nonghyup Bank City, County Branch (branch), Local Nong Agricultural Cooperative
  • Subject to loan
  • Individual facilities: livestock farm, livestock farm, livestock affiliation business, agricultural cooperative corporation, agricultural corporation corporation, local agricultural cooperatives
  • Joint Recycling Facility: Agricultural Cooperatives Corporation, Agricultural Corporation Corporation, Agricultural and Livestock Cooperatives, Private Corporations (Commercial Laws Act)
  • Loan procedure
  • Business Application
  • - Individual facility (farmhouse): City, District
  • - Individual facilities (corporations, etc.): City, province
  • - Recycling facilities: Agriculture, Forestry and Livestock
  • Selection of Supported Persons
  • - Market, municipalities, etc. should review the application form and set priorities for selection


반응형


Posted by 교육자의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