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공유2017. 11. 12. 18:16
귀농귀촌 정보를 검색해보세요!
반응형

볏짚닷컴 볏짚판매 소식 원형벼짚 최저가로 구매하세요


이제 겨울입니다. 패딩코트를 입고 나가야할 시즌이 된거 같네요 

호호 불면 김이 서리는 계절이 시작되었네요 

추운 날씨에도불구하고 영농하시느라 고생이 많으시네요 


대형사이즈 규격 125 x 125 사이즈의 원형볏짚으로 전북 김제 익산지역에서 생산된

제품인데요 


아시다시피 올 가을 날씨가 끝내주게 좋아서 

바닥상태 볏짚 상태 올 A++ 입니다

대형크기의 원형볏짚인데요 


2~3일간 건조 후 발효제 투입한 후 랩핑까지 진행한 최상급 원형볏짚이라고 자부합니다 

볕이 좋아서 2~3일간 건조하였으나 대부분의 수분은 잡은거 같은데 

아무래도 균일하지 않을 수 있어 반건조 생볏짚이라고 광고합니다 


세절 비세절 볏짚 모두 판매하고 있습니다 

모두 상차가격으로 운송비는 별도 부담조건인데요 

지역별로 너무 차이가 큰 편이라 아래 번호로 문자 넣어주시면 

알아보고 답문 넣어드릴게요 


저희 지역이 익산이라서 운송비 측면에서 유리할듯 합니다 

그래서 운송비는 운전기사님께 직접 전달해 드리면 될듯 하네요 

감사합니다 


세절볏짚의 경우 칼날을 3개 넣어 작업한 3단커팅된 세절 볏짚으로 1롤당 5만 2천원에 판매합니다

대량구매고객에 한해 다소 가격조정은 해드리고 있습니다


또한 비세절 볏짚은 1롤당 5만원에 판매하고 있는데요 

이번 11월 할인이벤트를 진행중입니다 

100개 이상 구매하시는 분들에게 한해 대폭 할인된 4만 6천원에 판매합니다 


아래 번호로 연락주시면 운송비 계산하여 답문드릴게요

감사합니다 


연락주세요 


문의전화 010-4650-5335

볏짚닷컴 대표 류용선


감사합니다~!!


1. 친환경 유기축산의 개념과 유기농업

 

우리나라 농업 생산물 가운데 생산액을 기준으로 했을 때 쌀 다음으로 돼지(2), 한우(3), 우유(4), 달걀(6), (7)으로 축산물의 비중이 대단히 높다. 육류 중심의 식생활은 가축 사육의 규모화, 집단화로 공장식 축산을 부추겨 왔고 연간 4900만 톤(하루 125천 톤)의 축산 분뇨 처리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정부는 지금까지 15천억 원 규모의 자금을 쏟아가며 전체 축산 농가의 90%58천여 농가에 축산 분뇨 시설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지만 운영자금의 부족과 축산 농가들의 분뇨 처리에 대한 의식 부족으로 축산 분뇨가 경종 농가에 거름으로 쓰는 것을 회피하는 기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것은 축산 분뇨를 생산하는 축산 농가의 분뇨에 대한 정확한 인식의 부족으로 분뇨는 유기질로 무조건 좋기 때문에 경종농가는 당연히 사용하야 한다는 잘못된 의식이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경종농가의 입장에서는 축산 분뇨에 대한 불신 즉, 항생제, 중금속, 미생물 문제에 대한 불신이 남아 있기 때문에 축산 분뇨의 사용에 대한 불안, 즉 환경오염과 흙의 오염, 농산물의 오염에 대해 많은 우려를 가지고 있다.

농림부는 이런 상황이 축산에 대한 국민의 불신을 키운다고 인식하고, 지난 5월부터 축산 분뇨를 발생량을 줄이고 친환경적으로 가축을 사육하는 농가에 최대 1,500만원의 직불금을 지급하는 친환경 축산 직불제 시범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들 농가는 소의 경우 일정한 크기의 경작지를 확보해 발생하는 분뇨의 60% 이상을 이곳에서 소화해야 한다. 또 돼지와 닭의 사육 밀도를 축산업 등록제 기준 (비육우 1평당 0.5마리, 육성돈 5.5마리, 79마리)보다 20~30% 완화하고 분뇨를 전량 퇴비나 액비로 만들어야 한다.

친환경축산은 유기축산을 말한다. 농산물의 경우 무농약 또는 저농약으로 기준을 완화하여 전체를 친환경농산물로 보고 있으나, 축산물의 경우 유기적 사육방법(전환기 포함)만을 친환경축산으로 인정한다. 여기서 말하는 유기축산이란 친환경축산의 범위와 같은 것으로 간주한다.

유기축산은 사료 작물과 축산물의 생산을 유기적으로 영위함을 의미하며, 유기생산체계 내에서 순환적이고 재생가능한 자원의 활용을 뜻한다. 즉 동물의 기본적인 생태성에 인위적인 사육 방식을 최대한 배제하는 것이고 가축의 먹이로 활용하기 위한 사료작물을 직접 유기적으로 재배하여 농업과 축산업의 순환 체계를 이루는 것이다.

이것은 기존의 집약적 가축사육 방식에서 벗어나 가축 복지가 최대한 보장되는 조건에서 가축을 사육하고, 유기퇴비를 이용하여 재배된 유기농산물로 만들어진 사료를 급여함은 물론, 사료 내 각종 첨가제나 항생제 및 성장 촉진제의 함유도 허용되지 않고, 축산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고, 궁극적으로 인간 건강에 매우 안전한 축산물 생산과 환경보전 측면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사육하는 것을 말한다. 요약하자면 유기축산이란 토양과 가축간의 조화로운 관계 발전 및 가축의 생리적 욕구를 존중하는 것을 말한다.

유기축산과 유기농업은 다음과 같이 물질 순환의 체계를 이루고 있다. 유기축산과 유기농업의 이러한 연관 관계는 생태 다양성의 유지, 생태계의 순환, 순환 시간의 연장, 물질분해 능력 증대 측면에서 상호 보완적이며 동시에 연속적이다.

유기농업 부산물의 사료화 : 유기 농산물의 생산, 수확, 소비 과정에서는 유기 부산물이 발생한다. 이들 부산물의 대부분은 유기 가축에 필요한 사료로 공급할 수 있다.

유기 분뇨의 자원화 : 유기 분뇨는 부숙을 거쳐 유기농업에 필요한 유기질 비료로 사용할 수 있다. 유기농업의 생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유기 비료가 필요한데 실제 유기 비료의 안전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중금속, 병원성 미생물, 항생제)

이러한 유기농업-유기축산의 복합경영체계는 원칙적인 유기축산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단 이러한 체계를 잡기 위한 과정으로 친환경축산의 개념을 도입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기축산 경영 방식 도입을 위한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야 한다.

 

 

2. 유기 농업에서 분뇨 인증조건

 

200511일부터 시행되는 유기재배 인증 기준의 변화는 지금까지 관행 축산에서 사용되는 축산분뇨를 상당부분 억제함으로서 새로운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규칙 별표 3에 의하면 축산 분뇨를 원료로 하는 유기질 비료(이하 축분비료라 한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완전히 부숙시켜서 사용하여야 하며 축분비료의 과다한 사용, 유실 및 용탈 등으로 인하여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유기 사료 기준에 맞지 아니하는 사료와 수의약품에 주로 의존하는 공장형 농장에서 생산되는 축분 비료는 20041231일까지만 사용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축분 비료를 사용할 경우 순환·자급형 축사에서 유래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흙살림의 경우 다음 사육 조건에 근접하는 축산을 인정하고자 계획하고 있다.

1. 유기 사료의 경우에는 40% 이상, 무농약농산물 또는 그 부산물로부터 유래된 사료의 경우에는 55% 이상 급여

* , 가축사육 기간 중 심각한 천재지변, 극한 기후 조건 등으로 위의 사료를 급여하기 어려운 경우는 인증기관의 승인을 얻어 일정 기간 동안 일반사료 급여 가능

2. 유전자조작 안 된 사료를 먹일 것

(한우의 경우 유전자조작 안 된 사료를 급여, 양돈·양계의 경우 유전자조작 안 된 사료가 개발될 때까지는 예외로 한다.)

3. 합성 수의약품(항생제와 호르몬제 따위)이 첨가된 사료를 먹이지 않을 것

4. 경종(耕種)과 이어지는 자원 순환을 원칙으로 할 것

5. 3개월 이상의 발효 기간을 거쳐 완전히 발효시킬 것

6. 필요한 경우 유해물질 잔류량을 분석하여 인증위원회의 승인을 얻을 것. 잔류허용량은 토양환경보전법의 토양오염 우려 기준의 지역의 기준을 따름

7. 발효식 축사 형태를 취하며 축분의 유실, 용탈 등으로 인하여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을 것


반응형

'정보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성 당뇨병  (0) 2017.12.01
당뇨병이란 무엇입니까? 당뇨병의 종류는 무엇입니까?  (0) 2017.12.01
올가을 햇 원형볏짚 판매 개시 시작  (0) 2017.10.15
신장 기능  (0) 2017.09.14
BUN / 크레아틴 비율  (0) 2017.09.14


Posted by 교육자의 길